d라이브러리
"대화재"(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호주를 삼켜버린 사상 최악의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호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가 연기로 뒤덮였어요. 호주 산불로 남동부 하늘은 붉은빛으로 물들고 불길이 도로 양옆 15m 높이로 치솟았으며, 화염이 토네이도를 일으킬 정도로 발달했지요. 호주 정부는 남동부 지역인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예비군 3000여 명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한 곳에 불이 나면 삽시간에 다른 건물로 퍼졌기 때문이다. 1871년 일어난 ‘시카고 대화재’가 그런 경우다.최근에는 건축물이 현대화되면서 고층 건물이 많아졌고 대형화, 복합화, 미로화됐다. 옆 건물로 불이 번지는 수평화재와 달리 수직화재가 늘어나고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그래서 소방방재 ... ...
-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트리니티 컬리지, 헨리 8세가 가장 좋아했다던 햄프턴 코트 궁전, 켄징턴 궁전, 런던 대화재 추모 기념비 등 많은 그의 건축물들이 런던 시내를 장식하고 있답니다. 천천히 걷다 보면 18세기 영국 전역에 바로크 건축 양식의 붐을 일으킨 그의 영향력을 느낄 수가 있어요.사실 렌이 살던 시대에는 ... ...
- [시사] 상부상조를 위한 수학, 보험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수학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수학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보험의 세계를 만나 보자.런던 대화재, 보험을 만들다자동차를 타고 다니다 보면 언제나 교통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사고로 집에 불이 나거나, 병에 걸리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살면서 늘 위험이 곁에 있지만, 모든 ...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새 주소는 외국 여러 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쓰던 주소 체계다. 영국은 1666년 런던에서 대화재가 일어난 뒤, 도시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도로명주소를 쓰기 시작했다. 도로명주소의 편리성이 알려지면서 현재 대부분의 나라가 도로명주소를 도입했다. 북한 역시 1960년대부터 도로명주소를 쓰고 있다 ... ...
- 100년 전 퉁구스카에선 무슨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오시다니 대단하시군요. 이 곳이 바로 100년이 지나도록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퉁구스카 대화재 현장이랍니다. 무려 1500㎞ 떨어진 곳에 있던 지질학자들이 지진이 난 걸로 착각했을 정도로 엄청난 폭발이 있었고, 불길이 얼마나 엄청났던지 유럽에서는 밤에도 낮처럼 환했답니다.그런데 아직도 ...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시인 존 드라이든이 ‘기적의 해’라는 시에서 처음 쓴 말이다.그는 흑사병과 런던 대화재, 네덜란드와의 전쟁으로 점철된 1666년을 영국 역사에서 경이의 해라고 불렀다. 사람들은 모두 악몽의 해로 기억했지만 그는 오히려 1666년을 런던의 재건과 미래의 승리를 기약하는 기적의 해로 바꿨다.166 ...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기대하기 힘들다. 한 예로 인류가 기억하는 가장 큰 산불이었던 1910년의 시베리아 삼림의 대화재도 시베리아 내에 한정된 미미한 기후 변동을 일으켰을 뿐 광범위한 영향은 미치지 못했다.반론에 의하면, 특히 열대 우림에서 대규모 자연 발화가 일어나기는 어려우며,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산되는 ... ...
- (1) '외계물체 충돌'이 천지 창조했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포함되어 있는 이리듐(Ir)이 평균 지각의 양보다 훨씬 많이 발견되고, 충돌 때 일어난 대화재의 증거로 간주되는 검은 재들이 발견됨으로써 외계 물체와의 충돌설로 기울어져 갔다.최근에는(1991년)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에 지름 1백80㎞에 이르는 운석구덩이 자국이 발견되었고, 그 주위에 운석 충돌 ...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과학동아 l1991년 12호
- 소행성 충돌 결과 산성비가 내린것이 공룡멸종의 원인이라든가, 아니면 소행성 충돌 후 대화재가 발생,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증가, 지구가 온난화됐다는 것들이다.87년에는 이리듐의 발생원인을 하늘이 아니라 땅에서 찾는 설도 등장했다. 영국의 하람박사는 이리듐이 장기간에 걸친 화산활동에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