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살
뉴스
"
대화재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것은 런던에 발생한
대화재
때문이었다. 한 빵공장에서 발생해 9월 2일부터 5일간 지속된
대화재
는 런던의 5분의 4를 태우고, 80%가 넘는 인구가 집을 잃고 노숙자가 되었다. 불탄 생폴 성당을 다시 지을 때 렌이 설계를 했고, 지금 런던을 방문하면 성하게 남아 있는 오래된 건물이 없는 것은 이 화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합리적인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
2022.03.16
아니다. 런던·파리·시카고·뉴욕을 비롯한 거대도시는 모두 전통적인 임산연료에 의한
대화재
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서울인 한성도 예외가 아니었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산이 모두 시뻘건 민둥산으로 변해버렸던 기억도 잊지 말아야 한다. 연탄의 불완전 연소에서 발생하는 맹독성 ... ...
거리 이름에는 도시가 추구하는 가치 담겨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빈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도시가 다시 성장하던 시기를 살던 인물이, 런던은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조시 3세가 통치하던 1700~1800년대 살던 인물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뉴욕은 1950~2000년대 인물들이 주를 이뤘다. 이들 네 도시는 공통적으로 예술가를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가를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문화로서의 ‘불태우기’를 가르치고 있다. 그는 2018년 중반에 이미 최근 일어난 호주의
대화재
재해를 예측하기도 했다. 그는 “기후변화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호주 땅을 보며 경종을 울린 것”이라며 “땅에 인위적으로 불을 피우는 것은 산불 관리에 역설적으로 큰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 ...
'지구를 생각하는' 독자들이 주목한 환경 뉴스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것이라 경고했다. (계속보기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2900) ●[호주
대화재
]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2020.1.7) 호주 해군함정으로 산불 피해지역 주민들이 인근해상을 통해 대피하고 있다. EPA/연합 제공 지난해 11월 시작한 사상 최악의 화마가 호주 전역을 집어삼켰다. ... ...
800년 전 노트르담을 되살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안전성과 건축 재료 재사용을 광범위하게 조사하는 데는 이른바 ‘열 지도'도 사용된다.
대화재
로 성당 이곳저곳의 너트와 볼트, 벽 내부와 주변 철제물의 녹이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어느 지점이 가장 뜨거웠는지 나타낸 지도다. 환경 분야 과학자들은 이달 말 성당 지붕에서 ... ...
[AAAS연례회의]"일상이 된 산불, 인간의 폐를 공격한다" 美전문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혈류에도 침투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지난해말부터 시작한 호주
대화재
와 이제는 매년 발생하는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산불의 피해가 산림과 생태계 파괴라는 문제 외에도 인간 건강에도 심각하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마련됐다. 밀러 교수는 호흡기 질환 전문 ... ...
노트르담 '그때의 울림' 다시 느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12월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은 성탄 미사를 열지 못했다. 같은 해 4월 15일 일어난
대화재
로 18세기 복원한 첨탑과 12세기 건립된 지붕 목조구조물이 불타면서 큰 피해가 났기 때문이다. 이 성당의 성탄 미사가 중단된 건 프랑스 대혁명 시기 잠시 문을 닫았다가 1803년 다시 미사를 재개한지 21 ... ...
[호주
대화재
] 최대 피해자는 야생동물…국가 상징 코알라 30% 떼죽음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호주 빅토리아주 이스트 깁스랜드에서 산불이 발생, 연기가 치솟고 있다. 깁스랜드 환경당국/시드니 AP 제공 지난해 11월부터 시작한 호주 산불은 인간뿐 아니라 동물의 터전까지 집어 삼키고 있다. 시드니가 속한 뉴사우스웨일스주에만 지금까지 4억8000만 마리의 동물이 화재로 영향을 받은 것 ... ...
[호주
대화재
]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지난해 12월 호주 시드니 남서쪽 지역에서 난 산불로 하늘이 붉게 물들어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호주 남동부를 중심으로 확산되는 산불과 들불이 최악의 재앙으로 치닫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번 화재가 기후변화 정책에 소극적인 국가가 겪을 수밖에 없는 ‘인재’라는 주장이 나왔다. 호주 작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