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나무, 나이 최초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알아냈어. 라이다는 물체에 레이저를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물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이야. 국립산림과학원은 라이다 기술을 통해 은행나무의 모습을 컴퓨터에 똑같이 만들 수 있었지.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 은행나무의 높이가 38.8m로 아파트 17층 높이와 비슷하다는 사실을 ... ...
- [기획]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지난 3월 미국에서 ‘메테인 위성’이 발사됐어요. 소의 트림이나 방귀, 똥에서 나오는 메테인을 관측하기 위해서죠. 메테인은 지구를 ... 작아 제작 시간이 짧고 대량 생산에 용이하다”며 “위성 여러 개를 발사해 메테인 배출 위치를 실시간으로 더 자세히 살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 한글 기계화에 앞장선, 공병우 과학기술유공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오른쪽에, 끝소리는 맨 왼쪽 끝에 두고 있어요. 이후 세벌식 자판은 쓰임에 따라 자판의 위치가 조금씩 수정되어 왔습니다.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의 자판은 표준 두벌식 자판입니다. 1982년 정해져 지금까지 쓰이고 있죠. 세벌식 자판과 달리 자음과 모음을 구분해 왼손으로는 자음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 세계의 길잡이, 디지털 영상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생생하게 볼 수 있답니다.거리 보기는 디지털 영상지도의 특징 중 하나로, 지도 속 위치를카메라로 찍어서 마치 내가 실제로 그 거리에 있는 것처럼 보여주는 기능이에요. 만약 당장 전주 한옥마을을 구경하고 싶은데 갈 수 없다면 거리 보기 기능을 이용해 디지털 답사를 해 볼 수 있지요. ... ...
- [만화뉴스]손톱만 한 물고기의 반전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140dB은 총을 쏘았을 때 ‘탕’ 하고 나는 소리와 비슷한 크기예요. 보통 물고기는 자신의 위치를 알릴 때 근육을 수축했다가 이완하면서 공기주머니인 부레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요. 그런데 다니오넬라 세레브럼은 근육이 이완되는 순간 갈비뼈 연골이 부레를 세게 치면서 큰 소리를 냈죠. 연구팀은 ... ...
- [기획] 골드수소, 단서를 포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반사되는지를 보고 지하의 모습을 추측하지요. 예를 들어 자기 조사는 특정 자기장의 위치와 크기를 알아 보는 방법이에요. 자기장은 자성을 띠는 물질 주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말해요. 암석마다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데 골드수소 주변에서 자주 발견되는 자철석이라는 암석은 ... ...
- [숫자로 보는 뉴스] 스트~라이크! 야구장에 로봇 심판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판정해요. ABS는 타자의 키에 따라 달라지는 스트라이크 존의 높이를 계산하고 공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요. KBO는 “ABS를 활용하면 더욱 공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요”라고 밝혔어요. 한 단계 더~! 로봇 심판을 도입하면서 스트라이크 존의 높이와 너비 기준이 새로 ... ...
- [과학뉴스]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달 남극에 누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가 우리나라 시각으로 2월 23일 오전 8시 24분 달의 남극에 위치한 분화구 ‘말라퍼트 A’에 착륙했어요. 이번 착륙은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약 52년 만의 달 착륙이며, 민간 기업으로서는 최초입니다. 착륙 당일 인튜이티브 머신스는 오디세우스가 정상 착륙했다고 ... ...
- [이달의 과학사] 1883년 3월 20일, 신발 기계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신발 몸체와 밑창을 발 모형에 알맞게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이때 발등 위치에 있는 신발 몸체 가죽을 밑창이 있는 곳까지 충분히 아래로 잡아당겨야 모형에 딱 맞는 신발을 만들 수 있었어요. 이 작업은 반드시 사람이 손으로 해야 해서 신발을 만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죠 ... ...
- 딥페이크,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바꾸는 방식이죠. 인공지능(AI)은 정치인 얼굴의 피부색, 얼굴과 머리 모양, 눈과 코의 위치 등 주요 특징을 학습한 뒤, 학습한 정보를 원본 영상에 삽입합니다. AI가 정치인의 실제 사진과 영상을 많이 학습할수록 그럴싸한 딥페이크가 만들어져요. 정치인이 연설하는 원본 영상에 다른 사람의 입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