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선왕조
d라이브러리
"
이조
"(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재활용 넘어 새활용으로!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또는 앱에서 포인트를 돈으로 바꿀 수 있어요. 재활용도 하고, 돈도 벌 수 있으니 일석
이조
(一石二鳥)이지요! ‘새생명’ 얻은 쓰레기!페트병을 분리배출 할 때는 재질을 잘 살펴봐야 해요. 생수병의 경우, 병 자체는 페트이지만 라벨은 PP, 병뚜껑은 HDPE인 경우가 많거든요. 그런데 병에서 분리한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훨씬 빠르고 넓은범위로 확산한다. 전 세계적으로 극심한 독감을 유행시키는 항원 대변
이조
류와 사람의 호흡기 세포는 각각 다른 시알산 수용체를 갖고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마다 각각 조류와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는 능력이 다르다. 그래서 다른 종 사이에 독감이 전염될 가능성이 낮다. ... ...
一石二鳥(일석
이조
)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지난 9월 18일 ‘네이처 분자 및 구조생물학’ 지에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비디오 게이머들이 ‘폴딧(foldit)’이라는 온라인게임으로 10여 년 동안 난제였던 단백질 구조를 밝혀냈다는 것이다. 이 단백질은 원숭이에게 에이즈(AIDS)와 같은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효소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게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방법론에 따라 경험디자인을 얻는다. 김정룡 교수는 “경험디자인을 설계하는 과정은
이조
백자를 만드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도자기공은 백자를 빚고 구워서 마음에 들지 않으면 가차 없이 깨뜨려버린다. 그리고 다시 빚어서 굽고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자기공은 그때마다 진흙의 ... ...
숫자 4의 탄생과 성장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여름), 국화(가을), 대나무(겨울)인데 이를 사군자라 부르지.3 조삼모사(朝三暮四), 일석
이조
(一石二鳥)처럼 네 글자로 된 문구를 사자성어라고 하지. 어떤 내용의 글이든 제목을 네 글자로 요약해서 표현해야 했던 한문권 산문의 전통에서 비롯한 거야.4는 행운의 수프랑스의 나폴레옹은 한때 ... ...
어렵고 재미없는 과학실험은 가라!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올해 3월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고등학생 가운데 이공계로 진학하겠다고 답한 학생은 4명 중 1명에 불과했다. 그들은 과학에 관심없는 이유로 “재미가 없어서(31.5%) ... 차가 달리는 모습을 보면서 작용·반작용 원리를 자연스럽게 배울수 있으니 일석
이조
(一石二鳥)다 ... ...
소마큐브를 업그레이드한 창의블록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컴퓨터 게임 대신 창의블록을 맞추며 보내자. 즐겁게 놀면서 두뇌도 발달시키는 일석
이조
(一石二鳥)의 효과를 거둘 테니까.창의블록의 친구들창의블록처럼 갖고 놀면서 두뇌를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퍼즐을 소개한다.시앙스몰(scimall.co.kr)에서 구입할 수 있다.매직큐브 5×5×5웍스아이 | 2만 3000원1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멤버인 에릭과 조선시대 민영익. 민영익은 조선 말 명성황후의 친정 조카로 최연소
이조
참의를 지낸 인물이다. 지난 11월 둘의 사진이 한 카페 게시판에 ‘조선시대의 에릭’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면서 누리꾼(네티즌) 사이에서 ‘에릭이 혹시 명성황후의 후손이 아니냐’는 궁금증이 일었다 ... ...
왜 핵과학자들은 초중량 원소를 만들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239를 대규모로 분리할 수있는 화학적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이 원소의화학적성질
이조
사됐다. 이연구를 비밀로 유지하기 위해 플루토늄-239는 원자번호(Z=94)와질량수(239)의 마지막 숫자를 조합해‘49’로, 그리고 이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포티나이너’(forty-niners)라고 불렸다. 1942년 8월 ... ...
분단 이후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음양오행설은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비판받았다.한편 1980년대는 ‘조선전사’나 ‘
이조
실록’의 완역이라는 역사학계의 성취와 함께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크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고조선 연구가 강조돼 학술지의 많은 지면이 고조선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