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성"(으)로 총 388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콜록콜록! 성대 아파도 말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스티커도 변형돼요. 그러면 스티커 안에 있는 코일이 구부러져 자석과 코일 사이에 자성의 힘과 방향이 바뀌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하죠. 전기 신호는 코일이 움직인 방향과 세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신호를 컴퓨터가 음성 신호로 변환하면 대화가 가능해요. 연구팀은 사람이 말한 문장과 ... ...
- [기획] 골드수소, 단서를 포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예를 들어 자기 조사는 특정 자기장의 위치와 크기를 알아 보는 방법이에요. 자기장은 자성을 띠는 물질 주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말해요. 암석마다 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데 골드수소 주변에서 자주 발견되는 자철석이라는 암석은 자기장에 영향을 많이 줘요. 그래서 자기장이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자성물질을 바르고 정보를 읽고 쓰는 ‘헤드’를 이용해 정보를 입력한다. 자성물질의 자성을 조정해 자기 방향이 변하면 1, 변하지 않으면 0으로 입력된다. < 반도체 > 정보 밀도: 5.02×109bits/mm3일본 컴퓨터 업체인 도시바는 1987년 플래시 메모리를 최초로 출시했다.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하지만 네오알키미스트는 독자가 반드시 알아야하는 물질의 성질 중 특히 중요한 탄성, 자성, 열이나 전기의 전도성, 외부의 힘에 갈라지거나 늘어나지 않는 인성 등을 중심에 두고, 각각의 특성을 대표적인 물질로 설명한다. 독자들이 다양한 물질을 관통하는 공통된 원리를 이해하고, 서로 다른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희토류/ 실리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생산하거나 반도체, 전기차 등 첨단 산업의 주원료로 쓰여요. 그중에서도 강력한 자성을 띠는 자석을 만드는 데 쓰이는 네오디뮴은 컴퓨터 하드디스크 같은 전자 제품의 효율성을 높이는 주요한 원료입니다. 현재 전 세계 희토류의 70% 이상은 중국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네오디뮴 자석은 92%로 ... ...
- [기획] 꿈★은 이루어질까?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올여름, 꿈의 물질로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 ‘LK-99’를 우리나라 과학자가 개발했다는 소식에 전 세계가 들썩였어. 정말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면 노벨 물리학상은 따 놓은 당상인 데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비롯해 일상이 뒤바뀔 수 있기 때문이지.상온 초전도체는 아직 검증 중이지만, 안타 ... ...
- 도전! 온도를 올려라, 초전도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지난 100년간 과학자들은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온도를 높이기 위해 고군분투해 왔습니다.상온 초전도체라는 꿈을 향한 과학자들의 노력을 확인해 보세요! 섞고, 굽고, 눌러라! 상온을 향한 여정 1911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카메르링 오네스는 끓는점이 영하 269℃인 헬륨을 액체 상태로 만드는 ... ...
- 상온, 상압에서 된다고? LK-99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논문에 나온 데이터만 봐서는 초전도체가 가져야 할 두 가지 특성인 저항이 0, 완전 반자성이 보이지 않는다”며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닌 다른 물질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한 달간 중국, 미국 등 전 세계 연구팀이 이석배 연구원팀의 논문에 나온 제조법에 따라 LK-99를 합성하는 ... ...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LK-99가 상온 초전도체인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합니다. 과학자들이 상온 초전도체를 그토록 기다리는 이유가 뭘까요? 상온 초전도체가 개발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아봅시다! 에너지 손실을 막아 기후 위기 해결사로! 우리가 쓰는 전기는 발전소에서 옵니다. 그런데 발전소에서 전선을 통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료용 관인 카테터를 넣고 자성나노입자가 카테터 쪽으로 이동하게 자기장을 걸어주면, 자성나노입자가 카테터를 타고 다시 몸 밖으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공학자, 기술자, 의사함께하는 연구의 매력 의료용 로봇 연구의 최종 목표는 상용화다. 의료용 기술이 환자에게 닿기 위해선 상용화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