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성
자의식
자각
자기성찰
반성
자기반성
사상 내성
d라이브러리
"
자성
"(으)로 총 388건 검색되었습니다.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3D 프린터로 태엽 시계 만드는 영상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8호
수 : 190만 명) (시간이 부족한 사람은 처음 2분만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영상은
자성
을 가진 액체인 ‘페로플루이드’를 만드는 영상이에요. 페로플루이드 액체를 처음 봤을 땐 외계에서 온 물질이라고 생각했어요. 액체에서 가시가 돋아나는 모습이 영락없이 외계 생명체처럼 보였거든요. ... ...
[통합과학 교과서] 금도끼는 사양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7호
강
자성
체지만 금은 그렇지 않아서예요. 보통 자석으로 사용하는 ‘영구자석’ 역시 강
자성
체로 만든답니다.자석의 힘은 눈으로 볼 수도 없고 느낄 수도 없어요. 그래서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을 표현하기 위해 ‘자기력선’을 그려요. 물리학자들은 자기력선을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가게 ... ...
[한페이지 뉴스]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띠지 않지만, 590K(절대온도·약 316.9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자기 스핀이 일렬로 정렬되며
자성
을 띠었다. 이러한 변화는 트로일라이트의 전도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자기 스핀이 정렬되면서 원자의 구조가 미세하게 변했고, 그 결과 띠틈(밴드갭)이 전자가 건너뛸 수 없도록 바뀌어 전기전도성을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바퀴 없이 움직이는 롤러코스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않게 만들면 자기장이 사라지면서
자성
을 잃어버리지요. 이렇게 전기가 있을 때만
자성
을 띠는 일시적 자석을 ‘전자석’이라 부른답니다. 사실 전류를 흘려주면 나사 없이 코일만 있어도 자기장이 만들어져요. 하지만 나사나 철 조각을 코일의 중심에 넣어주면 전자석의 자기장이 더 강해져요. ... ...
[과학동아X긱블] 마동석도 들 수 없는 페인트통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페인트통 바닥에 전자석 모양과 맞는 구멍을 뚫습니다. 철판과 전자석이 가까울수록
자성
이 세기 때문에 전자석을 가능한 바닥에 노출 시키기 위함입니다. 전자석을 구멍에 맞게 꼽고, 빈틈은 에폭시 접착제로 메웁니다. 그 다음 에폭시 용액을 페인트통에 들이부어 전자석만 잠기도록 합니다.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성장하는 방향을 알려주는 ‘가이드 세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서 교수는
자성
을 띤 나노 핵에 금 나노입자로 껍질을 둘러싼 새로운 형태의 나노입자인 MPNs(MagnetoPlasmonic Nanoparticles)를 만들고, MPNs를 노치와 카드헤린에 붙였다. 그리고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해 MPNs를 조종해 이들 단백질이 ... ...
[스미스의 탐구생활] 2000년 전부터 인류와 함께한 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있어요. 이처럼 자석이 일상 생활에서 쓰이기 시작한 건 무려 2000여 년 전, 인류가 강한
자성
을 띠는 돌인 ‘자철석’을 발견하면서부터예요. 이후 자철석에 쇠붙이가 달라붙는 것과 자철석이 늘 같은 방향으로 놓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그래서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자철석의 특징을 이용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뽀글뽀글 비눗방울을 키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레이저 빔 주위로 액체방울이 모이게 했어요(➊). 또, 이것으로 만든 액체방울은
자성
을 가져 자석을 갖다 대면 그 주위로 모였어요(➋). 마지막으로 전기장을 가하자 액체방울을 둘러싼 계면 활성제가 위아래로 분리되며 빈틈을 통해 내부 물질도 교환했어요(➌). 연구팀은 “액체방울에 약물을 ... ...
[포토뉴스]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나타나며 프랙털 구조를 보였습니다.도메인의 프랙털 구조는 네오디뮴 니켈산화물이
자성
을 띨 때만 유지되기 때문에, 물질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리카르도 코민 MIT 교수는 “양자 물질에서 프랙탈 구조를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연구 의의를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지구의 남쪽은 N극을 띠고 있어 나침반의 S극을 끌어당긴답니다. 그런데 지구는 왜
자성
을 띨까요? 지구 내부의 외핵에는 금속이 액체 상태로 녹아있어요. 금속의 대류나 지구의 자전 등으로 이 액체 금속이 움직이면서 지구 자기장이 만들어지지요. 이를 ‘다이나모 이론’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