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퓨즈
화약심지
도화선
d라이브러리
"
휴즈
"(으)로 총 7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쥐도 상상을 한다z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사람이 아닌 동물의 해마도 이런 활동이 가능한지 알지 못했어. 11월 2일 미국 하워드
휴즈
연구소 앨버트 리 연구원팀은 쥐가 해마를 제어해 특정 공간을 기억하고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발표했지. 어떻게 알아낸 거야? 연구팀은 쥐를 구형으로 만든 런닝머신 위에 올려 놓고, 사방에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방법은 속을 텅 비게 만드는 것이다. 2011년,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와 보잉 소속의
휴즈
연구소 토비아스 새들러 박사팀은 니켈을 이용해 초경량 금속 격자를 개발한 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1211649 연구팀이 개발한 금속의 밀도는 0.009g/cm3로 일반 니켈 밀도(8.9g/cm3)의 ...
[헬라세포] 100년 만에 보상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9호
경제적 보상이 돌아가게 되었어요. 영국의 생명공학 기업 ‘앱캠’과 미국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의 세포생물학 연구 책임자인 사마라 랙 피터슨의 연구실이 유가족을 지원하는 재단에 돈을 기부하기로 한 것이죠. 이들은 성명서에서 “헬라세포는 비윤리적으로 채취되었으며 유가족은 아무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전체가 위태로워져요. 지난해 4월, 호주 제임스쿡대학교 호주 산호초연구협의회 테리
휴즈
교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바다가 따뜻해져 지난 2년간 호주 연안에 있는 대산호초의 절반가량이 죽었다고 발표했어요. 더 심각한 연구결과도 있어요. 따뜻해진 바닷물로 인한 산호초의 백화현상은 주로 ... ...
좀비가 된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높은 식물의 잎사귀나 줄기에 올라갔어요. 그러다 밤이 돼서야 생을 마감했지요. 2011년
휴즈
박사 연구팀이 42마리의 좀비 개미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오피오코르디셉스’라는 곰팡이에게 조종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그리고 2017년에는 좀비가 된 개미 조직을 수천 개의 조각으로 나눠 ... ...
[과학뉴스] 손목 움직여 피아노 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손목의 움직임만으로 피아노 건반을 눌러 간단한 멜로디를 연주하는 데 성공했다.
휴즈
연구원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이번 연구가 사람과 더 가까운,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robotics.aau309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간 한국 과학자라는 수식어도 붙던데?그럴 때마다 기계처럼 하는 답변이 있다. 하워드
휴즈
의학 재단이 지원하는 사람이 300명 있다. 매년 이 중에서 한 명 정도는 노벨상을 받는다. 내가 앞으로 300년을 산다면 확률적으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한국 과학자들에게 마지막으로 던지는 조언 한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뿌리를 제거하는 가장 확실한 치료법이 되기 때문입니다.한 예로 미국 록펠러대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연구팀은 유전자 변이로 털이 나지 않는 쥐(흔히 누드 마우스(nude mouse)라고 부릅니다)의 피부에 정상 쥐에서 추출, 배양한 모공줄기세포를 이식해 피부에서 보송보송 털이 나도록 만드는 데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바랬다. 100개의 산호초 지대 중 단 6개 만이 1980년 이후 벌어진 백화 현상을 피했다. 테리
휴즈
제임스쿡대 교수는 “백화 현상은 엘니뇨처럼 자연적 변동에 의해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주로 발생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자연적 변동과 무관하게 백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수온이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연구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레프코위츠 교수는 “나는 연구 경력 내내 NIH와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HHMI)로부터 연구비를 받았다”며 “특히 HHMI의 연구비는 특정 주제가 아니라 연구자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5년 동안 무얼 연구하든 상관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5년 뒤에는 그 동안 이룬 학문적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