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퓨즈
화약심지
도화선
d라이브러리
"
휴즈
"(으)로 총 70건 검색되었습니다.
95광년 밖에서 태양계의 형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밖 행성: 오늘과 내일’이라는 제하의 모임에 참석한 영국 리버풀 존 모레스대의
휴즈
존스는 지구로부터 95광년 떨어진 곳에서 목성형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별과 행성의 중력 작용으로 인한 교란을 분석해 존재가 확인된 이 행성은 목성과 상당히 비슷하다. 목성의 약 2배 크기이고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추적장치가 가장 큰 문제였다. 따라서 언제나 통신이 가능한 정지궤도가 부각됐다. 1963년
휴즈
항공사는 최초로 신콤 1호를 정지궤도를 향해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이어 발사된 신콤 2호의 부분적인 성공에 이어 1964년 8월 신콤 3호가 마침내 태평양 상공 정지궤도에 안착해 동경올림픽을 중계하는 등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G-단백질연관수용체가 G-단백질을 활성화시키면서 시작된다. 2003년 2월 미국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의 찰스 주커 박사팀은 세계적인 세포생물학회지인 ‘셀’에 단맛, 쓴맛, 감칠맛은 각기 다른 맛 수용체를 갖지만, 거의 유사한 세포내의 신호전달 경로를 가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를 ... ...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하는 자폐증 환자, 레인맨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98) | 라인 더글라스 피어슨의 소설을 각색한 작품. 브루스 윌리스와 알렉 볼드윈, 마이코
휴즈
가 주연을 맡았다. ‘머큐리’는 국가보안시스템 프로젝트의 암호명. 국가보안시스템을 개발하려는 정부는 자신들이 개발한 암호 코드를 위한 마지막 테스트로, 그것을 유명 퍼즐 잡지에 퀴즈 문제로 ... ...
짧은 파장을 얻으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바소프, 그리고 프로호로프는 공동으로 196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 후 1960년
휴즈
항공사의 마인만(1927-)이 최초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만들어냈다. 이것이 바로 최초의 루비레이저다.초기의 레이저는 양끝을 거울처럼 매끈하게 만든 루비막대에 소용돌이 모양의 플래시튜브를 감은 간단한 ... ...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용가리 화석을 계기로 세계 최고의 고고생물학자가 될 야망을 키우지만 그의 스승인
휴즈
박사는 예언서를 통해 용가리가 대재앙을 초래할 것이라며 염려한다. 이때 외계에서 거대한 빛이 내려와 뼈만 남은 화석 용가리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긴 잠에서 깨어난 용가리는 도심 중심부에 나타나 도시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말했다. 숄로의 아이디어를 토대로 타운스는 1960년 레이저 시제품을 만들었다. 그러나
휴즈
항공사에 근무하던 마이만(1927-)이 그보다 먼저 최초의 레이저 발진장치를 만들어냈다. 두번째 레이저 발진장치는 벨연구소의 알리 제이반 등이 완성했다. 마침내 현대 문명을 일굴 레이저가 세상에 얼굴을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디렉PC(www.direcpc.co.kr, 전화 02-3415-6135)는 위성을 이용한 고속 인터넷이다. 미국의
휴즈
네트워크에서 개발한 것으로 국내에서는 삼성 SDS가 유니텔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전송속도는 ISDN의 약 3배 정도인 4백kbps. 유선 케이블을 쓰는 것이 아니라 위성(국내에서는 무궁화 2호)을 통해 무선으로 ... ...
몸안에서 생기는 진통제 엔도르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녹이고 여과해 매우 적은 양의 고약한 냄새가 나는 노란 왁스같은 ‘물질 X’를 얻었다.
휴즈
는 이 고약한 냄새 때문에 실험실을 화장실로 옮겨야 했던 때도 있었다. 5L의 뇌 수프에서 몇 g의 물질 X를 얻으면 이것을 냉장고에 넣고 다시 도살장으로 향했다. 이같은 과정을 수없이 되풀이 하는 과정에서 ... ...
카오스축구가 월드컵정상에 오른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풀기 위해 나선 곳은 웨일즈대학. 이곳에서 스포츠 과학자인 키이스 리온스와 마이크
휴즈
는 카오스이론을 도입해 축구의 신비를 풀어나가고 있다. 축구는 22명의 선수들이 그라운드를 누비며 여기저기로 공을 차고 달리는 경기로 무질서한 사건처럼 보인다. 그러나 “축구는 잘 정립된 패턴에 따라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