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계단에서 길 잃던 로봇에 '방향감각'을 불어넣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6
언덕길도
자유자재
로 오가는 로봇 길찾기 기술 ‘슬로프SLOPe’ . GIST 제공 영상 언덕길도
자유자재
로 오가는 로봇 길찾기 기술 ‘슬로프SLOPe’ 개발. GIST 제공 SFW 구조 모델은 위아래를 나타내는 수직 방향 하나, 좌우를 포함한 수평 방향 두 개 그리고 같은 기울기를 가진 네 개의 경사 방향으로 ... ...
빨판으로 유해한 미생물 감지하는 문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화학물질을 감지해 부패 여부를 파악한다. Cell 제공. 문어의 빨판은 필요한 곳에
자유자재
로 달라붙는 ’접착 센서‘로 잘 알려져 있다. 문어 빨판이 상한 음식을 가려내는 ’신선도 감지 센서‘ 기능도 한다는 점이 확인됐다. 사람은 냄새를 통해 부패한 음식을 가려낼 수 있다. 니콜라스 벨로노 ... ...
[과기원NOW] KAIST, 온도에 반응하는 전자잉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정밀한 인쇄가 가능한 물성과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갖췄다. 딱딱함과 부드러움을
자유자재
로 조절할 수 있는 전자소자를 상온에서 정밀 제작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문기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창순 박사팀, 서울대학교 ... ...
머리카락 100분의1 두께 화면에 36개 이미지 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기존 홀로그램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빛의 특성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는 메타표면을 이용했다. 단단하면서도 빛이 잘 통과하는 ‘실리콘 질화물’을 이용해 원자만큼 작은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메타원자’라는 기둥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 ...
전류 흐름
자유자재
로 바꾸는 '재구성형 전자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강주훈 연세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필요에 따라 전류흐름과 관련한 다양한 기능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는 전자소자가 개발됐다. 간단한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어 차세대 전자소자 설계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강주훈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잉크처럼 뿌려 ... ...
'터미네이터 T1000' 로봇처럼 좁은 틈 통과하는 '액체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이번 연구 성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음파나 전기장을 사용해 액체 로봇의 모양을
자유자재
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선정윤 교수는 "액체 로봇이 향후 산업 현장에서 보다 널리 활용되도록 재료의 기능성을 더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doi.org/10 ... ...
3D 홀로그램 나올까…세계에서 가장 빠른 빛 조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3.07
특정 테라헤르츠 주파수에서 500% 이상의 변조 심도를 달성했으며 테라헤르츠 파를
자유자재
로 조절할 수 있는 데에도 성공했다. 연구는 초고속 데이터 전송, 차세대 이미징 시스템, 정밀 의료진단 센싱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oi.org/10.1002/advs.202413719 ... ...
韓日 공동연구팀, 준입자 '엑시톤'
자유자재
로 조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3.07
화학 반응에서 중간 단계로 나타나는 준입자인 '엑시톤(exciton)'을 분자 한 개 안에서
자유자재
로 형성·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차세대 에너지 소자 개발이나 다양한 화학 결합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고 새로운 양자물질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유수 광주과학기술원 ... ...
전자 에너지
자유자재
로 제어…양자컴 큐비트 성능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KRISS 연구진이 무냉매 희석 냉동 장비를 이용해 소자의 온도를 극저온으로 냉각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단일전자의 에너지를 원하는 형태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외부 환경에 의한 전자의 불안정성을 줄이고 양자 상태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단일전자 큐비트의 ... ...
빛과 소리 동시에 구현하는 차세대 신축성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진우 교수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유자재
로 늘어나면서도 빛과 소리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배진우 한국기술교육대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교수팀이 신축성 투명 전극과 고성능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