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망토' 메타물질 연구, 산업화 단계로...메타렌즈 대량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기술을 개발했다. 메타렌즈는 아주 얇으면서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자유자재
로 휘거나 모이게 하는 초박형 평면렌즈다. 수cm 두께의 무거운 렌즈 없이도 빛을 자유롭게 조절해 원하는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어 미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코로나19 기간 수질오염 민원 줄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수 있다. 이종원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메타표면 기반 광소자는 빛의 편광 상태를
자유자재
로 변조시킬 수 있는 능동 파장판, 빛의 초점 거리를 다양하게 가질 수 있는 능동 메타렌즈부터 빛 세기와 위상을 실시간으로 조절해야 움직이는 홀로그램 기술 등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뇌에 빔 프로젝터 쏴 만든 뇌 연결지도..."뇌 구조·기능 심층연구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아니라 뇌 표면에 영화를 상영하듯 빛을 쏘는 방식이다. 원하는 뇌 영역에 원하는 패턴을
자유자재
로 생성할 수 있다. 한 번의 실험으로 하나의 고정된 영역이 아닌 여러 영역에 자유롭게 광 자극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이 기술로 하나의 마우스 실험개체에서 다양한 뇌 영역들을 ... ...
[오늘과학] "아이의 외국어 습득, 성인보다 또래와 대화가 더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14
이 섬에 사는 아이들은 단일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아이들보다 더 다양한 언어를
자유자재
로 구사한다. 연구팀은 말라쿨라섬에 사는 5~33개월 어린이 38명이 다양한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실험에 참가한 아이들은 고감도 녹음장치가 장착된 조끼를 입고 하루 동안 자유롭게 ... ...
머리카락 100분의 1 크기 픽셀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제어하면 물질 표면에 어떤 구조적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도 발광하는 픽셀 모양을
자유자재
로 설정할 수 있다. 집속 이온 빔은 재료공학이나 생물학 등 분야에서 초고배율 이미징이나 나노 구조체 제작 등에 널리 쓰이는 기술이다. 그러나 LED와 같은 발광체 위에 집속 이온 빔을 사용하면 빔을 ... ...
매질 변화 없이 '시간'으로 전자파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없었다. 연구팀은 “시간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1차원 정보만을 제공해 전자파를
자유자재
로 제어하기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여길 수 있다”며 “하지만 시간 속 무질서의 개념이 수 많은 공학적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음에 주목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기적 성질과 자기적 성질을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제조 방식의 혁신이라 불리는 3D 프린터가 우주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과학동아 바야흐로 우주 개척 시대다. 미국은 50년만에 유인 달 착륙 프로젝트를 재개했고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화성 탐사용 거대 로켓 ‘스타십’의 첫 궤도 시험 비행을 2023년 1분기 진행할 계획이다. 이들의 목 ... ...
'앤트맨' 구현?…미시세계 속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양자 현상인 '준입자'를 눈에 보이는 거시세계에서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신체 크기를
자유자재
로 변형시키는 능력을 갖춘 주인공이 거시와 미시세계를 넘나드는 영화 '앤트맨'의 세계관이 실현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박혁규 첨단연성물질연구단 연구위원팀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돼지껍데기 추출물로 연료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황재윤 교수팀이 홀로그램 원리를 기반으로 집속 초음파 형태를
자유자재
로 실시간 구성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초음파 홀로그램 생성 프레임워크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황 교수팀은 기존 초음파 홀로그램 생성 알고리즘 방법 대비 최대 400배 빨라 실시간에 가까운 홀로그램 생성 시간을 ... ...
새로운 비만 치료법 등장…양전하 나노물질로 내장지방 없애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폴리아미드아민은 단백질과 같은 화학적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하는 화학적 특성을
자유자재
로 부여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폴리아미드아민에 양전하 성질을 띠게 해 양전하 나노물질 P-G3를 개발했다.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P-G3는 내장비만 세포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