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정모세 UNIST 교수팀, 소형 차세대가속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실용화에 필요한 기술실증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빔 진행 방향으로의 위상공간을
자유자재
로 제어하는 기술로 소형 차세대가속기 실용화가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공개됐다 ... ...
세 가지 정보 동시에 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맞춤형 VR 수업'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한층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메타표면은 빛을
자유자재
로 조절하는 인공물질이다. 나노 구조체의 주기적인 배열로 이뤄진다. 구조체 하나의 크기가 파장보다 작아 이 안에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학계의 과제였다. 또 기존 메타표면은 ... ...
[과기원은 지금] GIST, 대형 산불 발생 야기하는 기상조건 일주일 전 예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 포스텍은 최수석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산란 없이 투명과 밝기를
자유자재
로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적은 전압으로 빠르게 반응해 기존 스마트 윈도우와 달리 상용화된 디스플레이의 회로 구동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디스플레이 ... ...
태양의 서커스인 줄…호주 거미, 기막힌 곡예로 개미 사냥
연합뉴스
l
2022.09.20
교수는 거미가 자기 몸집보다 더 큰 사냥감을 잡기 위해 거미줄이라는 도구를
자유자재
로 사용하는 것에 주목했다. 밤라 교수는 "우리는 인간과 영장류만 도구를 다룰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거미도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연구진, 0차원 공허에서 새로운 메모리 기술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 입자의 크기를 조절해 반사되는 파장과 물질의 색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다. 입자의 크기를 일정하게 만들면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해 염료 없이도 특정 색을 띠게 할 수 있다. ■ KAIST는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22 KAIST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친환경 용매'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19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을 사용하면 3D 공간에서
자유자재
로 움직이는 입체 형상을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은 컴퓨터 그래픽 분야 국제학술지 ‘ACM 트랜잭션 온 그래픽스’에 최근 게재됐다. 이달 초에는 ... ...
싱가포르 제조업 '부활'…"비결은 정부 지원·자동화"
연합뉴스
l
2022.06.23
싱가포르, 코로나 대형 격리시설에 로봇 적극 활용. EPA/연합뉴스 제공 아시아 금융허브인 도시국가 싱가포르에서 이례적으로 제조업이 부활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 자료에 따르면 이 나라 국내총생산(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27%에서 2013년 18%로 8년간 계속 떨어졌지만, 최근에 ... ...
어떤 날씨에도 날 수 있는 드론 나왔다
과학동아
l
2022.06.01
강풍 속에서도 8자를 그리며 정확히 비행하는 모습. 캘리포니아공대 제공 도심을
자유자재
로 누빌 수 있는 드론은 미래 모빌리티의 대표주자로 꼽힌다. 이런 드론이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위해선 갑작스레 변하는 기상 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능력이 필수다. 정순조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 ...
빛과 소리로 정밀한 화학반응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31
영역과 소리를 조합하면 노란색과 초록색으로 이뤄진 동심원 패턴의 형성과 소멸을
자유자재
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용액 위에서 물체를 움직이는 데도 성공했다. 접시 내 용액에 작은 물체를 띄우고 레이저 포인터로 빛을 쪼이면 화학반응으로 표면장력이 줄어들면서 순간적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섬모처럼 유체 흐름 만들어내는 인공 섬모
동아사이언스
l
2022.05.28
이타이 코헨 미국 코넬대 물리학부 교수 연구팀은 백금으로 만든 섬모를 이용해 유체를
자유자재
로 움직일 수 있는 섬모 배열 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섬모를 모방한 기계장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어려움이 컸다. 두께가 수 나노미터(nm, 10억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