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709건 검색되었습니다.
[길잃은 차세대발사체] 메탄·재사용 급전환…엇갈리는 기술성숙도·경제성 판단 (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9.16
엔진 개발 경험이 부족해서다. 메탄은 밀도가 낮아 거대한 연료 탱크가 필요하고 극저온
저장
이 필요하다. 나로호, 누리호는 모두 케로신 기반 발사체다. 기존 케로신 기반 엔진의 기반 시설의 재설립, 기술 성숙이 필요한 것이다. 국내 기업, 연구기관이 가진 메탄 엔진은 3t급에 그친다. 팰컨9도 ... ...
어지러운 테이블 '알아서 잘' 정리정돈하는 로봇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9.15
학습한 로봇은 사전 이미지 없이도 책상 정돈 상태를 수치로 평가했다. 연구팀은
저장
된 로봇 데이터만으로 학습하는 '오프라인 강화학습'과 가능한 수를 시뮬레이션해 가장 좋은 결과를 선택하는 탐색 기법인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MCTS)'을 결합했다. 다양한 정리정돈 전략을 탐색하고 실행하는 ... ...
'로봇 학우' 수학문제 헤매자 중학생 학업성취도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9.15
거의 주지 않고도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성이 제시된 것이다. 류칭 첸 중국
저장
대 컴퓨터과학기술부 교수팀은 중학교 교실에 인간형 로봇을 도입해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10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공개했다. '생산적 실패(PF)' ... ...
내년 사용후핵연료
저장
시설 포화 위기 본격화…고리 원전 95% 넘을 듯
동아사이언스
l
2025.09.14
소요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별법은 근본적 해결책으로 사용후핵연료 중간
저장
시설과 영구 처분시설 확보를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지질 조사부터 부지 선정, 주민 협의, 시설 설치까지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영구 처분장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 ...
에너지도 만들고 건강도 위협하는 '달콤한 맛'의 딜레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9.13
쓰이도록 간 세포나 근육 세포로 보내요. 혹은 포도당과 과당을 간에 지방 형태로
저장
하여 혈액 속 당류 농도를 낮춥니다. 그런데 이 과정이 잦아지면 췌장이 인슐린을 내보내는 기능이 떨어져요. 또한 간 세포와 근육 세포, 지방이 인슐린에 덜 반응해요. 따라서 혈당을 낮추는 전체적인 기능이 ... ...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생산 핵심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인공혈소판 생산에 성공해 국내 최초 특허를 등록했다. 서울대 연구팀은 혈소판
저장
과정에서 기능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후보물질을 발굴했다. 또 3차원(3D) 프린팅 기반 골수 미세환경 모사 플랫폼을 제작해 혈소판 생성 효율을 높였다. 울산대·전북대·연세대 등은 품질 관리와 ... ...
'재생에너지 변덕' 보완할 '액체공기 에너지
저장
기술' 핵심 자재 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설명했다. 이어 "터보팽창기와 콜드박스 개발 성과가 대용량·장주기 액체공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용화와 보급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흑연 국산화 전환점…폐자원 활용 고순도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성능을 보였다. 최초 충·방전 효율은 92%으며, 1그램(g)당 362밀리암페어시(mAh)의 전하를
저장
했다. 200회 충·방전 후에도 초기 용량의 98%를 유지했다. 기존 상용 흑연 생산 대비 약 60%의 비용 절감 효과를 보이는 등 경제성도 높았다. 연구팀은 앞으로 열처리와 산처리가 필요 없는 공정까지 개발해 ... ...
'양자 레고'로 차세대 소재 혁신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다공성 물질(MTV)의 최적 구조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됐다. 에너지
저장
과 변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해 환경 문제 해결과 차세대 에너지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양자컴퓨터 기반 프레임워크를 통해 MTV의 ... ...
9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김민한·조영진…배터리 혁신·휴대용 엑스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8
구조 안정성 확보로 제품 수명을 10% 이상 개선했다. 'mAh/cc'는 부피 1세제곱센티미터(cc)당
저장
할 수 있는 전하 용량이다. 김 연구원은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 양산, 기술 이전을 성공시켜 기술 경쟁력 우위를 확보했다. 김 연구원은 “앞으로도 양극활물질 분야에서 끊임없이 차별화된 기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