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709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 대신 땀으로 근육·질환 검사하는 스마트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패치 착용 예시(왼쪽)와 순차적인 땀 수집 및 보관 사진(오른쪽). KAIST 제공 패치 내부에는
저장
공간인 챔버가 6개에서 최대 17개까지 구현돼 운동 중 분비되는 땀이 순차적으로 각 챔버에 채워진다. 연구팀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운동할 때 나오는 땀 속에서 시간이 지나며 달라지는 성분 ... ...
"지구 암반에
저장
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유한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70%가 지상에
저장
될 수 있다. 러시아, 미국, 중국, 브라질, 호주 등이 이산화탄소 대규모
저장
이 가능한 나라다. 연구팀은 각국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계획에서 CCS의 역할과 비중을 되돌아 봐야 한다고 말했다. -https://doi.org/10.1038/s41586-025-09423 ... ...
300년 '네모' 굴레 벗은 '프러시안 블루'…배터리 전극에도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넘어 원하는 모양으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재료가 됐다”며 “배터리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부터 환경 정화까지 활용 범위가 크게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002/adfm.20250809 ... ...
韓 연구팀, 상온서 '스핀트로닉스' 제어하는 자성 나선 구조체 최초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Spintronics)는 전자의 자기적 성질인 스핀(spin)을 제어해 전자의 직접 이동 없이도 정보를
저장
·처리하는 기술이다. 차세대 소자인 자성메모리(MRAM) 등의 핵심기술로 평가된다. 국내 연구팀이 외부 자기장이나 극저온 장치 없이 상온에서 전자의 스핀 흐름을 조절하는 자성 나선 구조체를 처음으로 ... ...
"혈액 한 방울로 병원급 검사"…차세대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전류가 흐를 때 얼마나 방해받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연구팀은 적혈구가 등장액·
저장
액·고장액 등 다양한 삼투 조건에서 부풀거나 수축하는 과정을 광학 현미경과 홀로토모그래피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이어 전극이 부착된 미세유체 채널을 통해 다중 주파수로 분석했다. 분석된 데이터를 ... ...
외부 전력 없이 작동…저비용·고효율 버스 정보 안내장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개발한 신규 버스 정보 안내장치는 태양광 패널로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배터리에
저장
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외부 전력망 연결 없이도 자체 작동한다. 전력 소모가 적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장시간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전력효율도 뛰어나다. 전자종이의 소비 전력은 7.4Wh ... ...
전기차 주행거리 20% 늘릴 리튬이온전지 음극재 양산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5.09.01
이전돼 양산을 앞두고 있다. 수천 톤급 고품질 그래핀을 대량 생산하는 규모로 에너지
저장
장치(ESS) 등 국가 에너지 산업 경쟁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기연구원은 국내 전기전자 소재·부품 기업 JNC머트리얼즈로 기술이전한 리튬이온전지용 음극재 양산화가 원활히 추진 중이라고 1일 ... ...
"반도체 우등생 한국이 놓치고 있는 전력 반도체"
과학동아
l
2025.08.30
배터리와 화석연료를 비교하면 배터리에
저장
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 화석연료에
저장
할 수 있는 에너지양보다 적다. 다른 말로 '에너지 밀도' 차이가 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전기배나 전기차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어떻게 하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전체적인 주행 과정에서의 ... ...
어둠 속에서 '형광 무지개 빛'으로 반짝이는 다육식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8.29
만든 형광체 입자가 특정 파장에서 빛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고 에너지 일부를
저장
했다가 또 다른 특정 파장에서 천천히 빛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점을 활용해 발광 식물을 만들었다. 다육식물 ‘메비나’의 잎에 녹색 형광물질을 주입하자 균일하게 빛이 확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Matter ... ...
"값싼 中 배터리 독주 돌파구"…선양국 교수팀, 차세대 양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27
성능 경쟁력 모두에서 중국을 압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글로벌 에너지
저장
기술 패러다임 전환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양극재의 상용화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 및 현대자동차와 기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고성능·저가격 전기차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