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d라이브러리
"
모델
"(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합금을 먹고 달리는 수소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연료로 사용했을 때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다.한편 독일의 벤츠(Benz)사는 벤츠 300
모델
에 무게 3백50㎏의 압축수소용기를 탑재했는데 주행거리가 1백20㎞ 밖에 되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소련에서도 개발중일본에서는 무사시(Musashi)공대 주관으로 1970년대 초에 상업용 압축수소용기를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새의 아름다움을 더욱 사랑할 수 있듯이 신경망 연구는 그 출발점에서 두뇌를
모델
로 하면서 인간의 신비로움을 자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도 있다.어쨌든 이제 바퀴는 돌고 있다. 미국이나 일본 독일 핀란드등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이미 신경망 연구에 상당한 자금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것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스페이스캠프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90년부터는 일본내에
모델
로켓협회가 생겨서 로켓발사대회를 열고 있다.몸으로 체험하는 것만이 캠프의 전부는 아니다. 우주박물관(Space museum)이나 우주개발을 다룬 아이맥스(IMAX) 영화를 상영하는 갤럭시 극장(Galaxy theater) 또 실습장내의 ... ...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이라는 하이브리드차를 출품, 까다롭기로 소문난 미국 L. A.시장진출을 꾀하기도 했다. 이
모델
은 시속 64㎞까지는 전기모터로, 그 이상은 가솔린엔진으로 달리게 돼 있었다. 이를테면 운전자가 계기판의 'EL'을 누르면 전기자동차로, 'ER'를 누르면 가솔린엔진으로 전환됐다. 또 90년 3월에 열린 ... ...
「초당 1조번 처리속도」새기술 공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정도이므로 이보다 50배 가량 빠르다.힐리스는 지난해 10월 이 기계의
모델
을 공개했는데 아직 테라플롭스성능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설계방식에 따라 프로세서 노드(nod)수를 1만6천개까지 증가시키면 테라플롭스급 속도를 안정적으로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장담했다.싱킹머신사는 아직 이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파면이 시공간에 형성되고, 이것이 고도의 민감한 어떤 뉴런에 의해서 지각된다는
모델
을 제시했다.초감각지각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을 위배한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전자기파보다 빠른 통신수단은 없다고 말하였다. 이것은 상대성 이론을 구성하는 기본 개념이며, ... ...
인공편모모터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단백질인 플라젤린(flagellin)의 분자구조를 알아내기 위해서다.남바는 보다 정밀한 세부
모델
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영상을 계측 수집해 플라젤린의 분자배열을 밝혀낼 예정이다.이들 분자간 상호간섭을 이해한다면 섬유의 구성과 작동기능이 해명된다. 이는 인공분자모터를 제조하기 위해 반드시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또 리보솜을 둘러싼 지질막(脂質膜)에 주목하는 학자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어떠한
모델
도 정설로 굳어진 것은 없다.자손을 만들기 위한 자기복제능력에 관해서는 우선 최초의 생명물질이 무엇인가를 알지 않으면 안된다. 그것이 단백질인가, 아니면 생체정보에 관련된 핵산(DNA RNA등)중의 어떤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사멸'이라는 조종을 울리게 했다.오늘날 우주의 일반상대론이라 할 수 있는 대폭발
모델
은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우주론자들은 지금 그들의 관심을 좀 더 자세한 부분에 기울이고 있다. 즉 어떻게 은하계와 다른 커다란 크기의 구조가 우주 초기 혼돈의 영역에서 형성됐는가. 그리고 1천초 보다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사라졌거나 호전되는 현상을 플라시보반응이라고 한다.플라시보반응은 유물적 과학
모델
에 집착하는 과학자에게는 결코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신기한 치료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고려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환자와 치료인이 서로 신용한다면 위약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