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하하. 뉴로피드백에 대해 논란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뇌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
이 많기 때문에 분명한 결론을 내기 어렵죠. 하지만 뉴로피드백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3년 뇌 전두엽의 좌우뇌 비대칭 지수와 경쟁 중 느끼는 불안 사이의 관계를 검증한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에요. 지구의 그림자에 달의 일
부분
이 가려지는
부분
월식과,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완전히 가리는 개기월식 이렇게 두 종류가 있지요.개기월식이 일어나면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면서 점점 초승달 모양으로 사라져가요. 그런데 놀랍게도 지구의 그림자가 ... ...
PART 2. 올림픽 속 수학 찾기!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양쪽 둥근
부분
을 합쳐 만들어진 원의 반지름을 rm라 하자. 그러면 첫 번째 트랙 둥근
부분
의 길이는 원의 둘레를 구하는 공식에 따라 2πrm다.두 번째 트랙도 마찬가지로 계산해보면 2π(r+1)m다. 같은 식으로 나머지 트랙들도 반지름이 모두 1씩 차이가 난다. 따라서 각 트랙은 2π(r+1) - 2πr = 2π(r+2) - 2π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영주여고 학생들의 수학문집 제작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독자 여러분 대
부분
‘수학문집’이 무척 낯설었을 텐데요. 이 글을 통해 ‘우리도 수학문집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알찬 수학문집을 만들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학생 모두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수평 전달을 통해 유입됐음을 확인해 ‘영국왕립학회보B’에 발표했다. 이 유전자들은 대
부분
소화 효소와 관련된 것으로 박테리아, 균류, 조류 등에서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크리스프 교수는 논문에서 “동물의 진화가 단지 조상으로부터 내려 받은 유전자에 의해서만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대규모로 매장돼 있을 걸로 추정한다(특히 로모노소프 해령처럼 대륙지각에서 이어지는
부분
에 많이 묻혀 있을 것이다!). 북극 연안국들은 서로가 주장하는 법적 대륙붕이 겹치더라도 일단 심사를 받겠다는 약속을 했다. 한 나라라도 이의를 제기해 북극해가 분쟁 지역이 되면 심사가 아예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매일 아침에 출근해 밤늦게 퇴근하는 게 일상이다. 등을 맞대고 논문을 읽고, 잘 모르는
부분
은 토론을 한다. 과제에 참여 중인 정태곤 씨(DGIST 3학년)는 “각자 잘하는 분야가 조금씩 달라 의지할수 있다”며 “배낭여행은 언제든 갈 수 있지만 이 연구는 지금 하지 않으면 남에게 빼앗길 것 같다”고 ... ...
[수학뉴스] 만점 금메달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일은 없었나요?만점 맞는 과정이 험난하긴 했습니다. 한국의 한 학생이 어려운 증명
부분
은 잘 풀어놓고, 9의 배수라는 것을 보여주는 표에서 숫자 두 개를 바꿔 쓰는 사소한 실수를 한 겁니다. 다른 문제는 다 맞았기 때문에 1점 차이로 만점 금메달을 놓치는 안타까운 상황이었죠.한국대표단은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포켓몬들이 나타난다. 하지만 게임의 인기를 단순히 증강현실 기술로 설명하기엔 부족한
부분
이 많다. 국내에서도 5년 전 포켓몬 고와 비슷한 증강현실 게임 ‘캐치캐치’가 서비스된 적이 있으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때문에 원작이 가진 콘텐츠의 힘이 성공요인이라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제기됐죠. 이런 논란은 후대의 수학자들이 집합론의 공리를 정교하게 정의하면서 대
부분
해결됐습니다. 칸토어는 오늘날에는 공로를 인정받아 집합론의 아버지로 불립니다.빛으로 힐베르트 호텔을 짓다최근 과학자들은 수학자들이 머릿속에서만 상상해본 힐베르트 호텔을 직접 실험으로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