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했다(동일한 질문의 답은 붙여서 정리했다).Q 극지 공동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P ‘IABP(International Arctic Buoy Program)’ 같은 국제 공동 관측프로그램이다. IABP는 북극해에 수백 개의 부이(해상의 기상 상황을 관측하는 장비)를 네트워크처럼 띄워서 해빙의 면적, 이동, 해수 온도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자신의 적합도에 대비해 그 상황에 해당하는 근연도 계수만큼 이웃의 적합도도 일정부분 중시하는 방향으로 종의 사회적 행동이 진화할 것이다(해밀턴, 1964년).요컨대, 해밀턴이 철저하게 ‘이기적인 유전자’의 관점에서 사고한 선구자라는 믿음은 오해다. 해밀턴이 유전자가 마치 사람처럼 다음 ...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균사체는 버섯과 같은 균류의 포자가 발아한 후에 ‘균사’가 사슬형태로 뭉쳐 자란 부분이지요.베이어는 이 원리를 이용해 균사체를 아주 잘게 잘라 톱밥에 섞은 뒤 충전재 모양의 틀에 넣었어요. 그러자 균사들이 자라며 촘촘하게 얽혀서 재료를 결합시켰고, 가벼우면서도 충격을 흡수하는 ... ...
- [수학뉴스] “미래 직업 200만 개 중 40만 개가 수학·컴퓨터 분야의 일자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기술을 알아야 하고, 공대생도 수학을 더 공부해야 합니다.수학동아 :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줘야 하겠네요.이향숙 : 대한수학회 차원에서 융합형 커리큘럼을 만들어 대학에 제공할 계획입니다.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알고리즘이나 데이터 구조 같은 지식이 있으면 수학의 가치를 더 높일 수 ... ...
- [Editor’s Note] 섞임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따뜻해지고(북아메리카 서부), 어떤 지역은 추워진다(극지). 지금의 지구 기후는, 많은 부분을 고립에 빚지고 있다(72쪽 특집).섞임의 다른 말은 교류와 교감이다. 8월 6일 토요일에는 과학동아가 정성을 기울여 준비한 교감 이벤트가 열린다. 대중 과학 강연 축제 ‘사이언스바캉스’다. 작년에 이어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적도 부근의 테티스해를 기준으로 판게아의 북쪽 부분을 로라시아(Laurasia) 대륙, 남쪽 부분을 곤드와나(Gondwana) 대륙이라 불렀다. 북극까지 이어져 있던 로라시아 대륙은 먼 훗날 북아메리카가 될 로렌시아(Laurentia) 대륙과 유라시아(Eurasia) 대륙(현재의 유라시아 대륙에서 인도와 아라비아 반도를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곳에서 스포츠과학 기기들을 통해 각자의 꿈을 키워 나갔다. 자신의 체력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데 쓰고, 실전을 앞두고 컨디셔닝에 활용하기도 했다. 훗날 올림픽 무대에서 국가대표 선수와 국가대표 스포츠 과학자로 만날 날이 머지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훈련은 끝났다. ... ...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인접한 쪽의 남극 중앙해령은 해구에서 비교적 가까이 위치해 확장 속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빠른 편이다.열도맨틀의 강력한 상승작용으로 만들어진다. 남극대륙 주변에는 실제로 대규모 화산활동 증거들이 남아있다.호주 대륙약 2000만 년 전 남극대륙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분리됐다.해류극지의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계산을 줄일 수 있지요.캐릭터의 표면 위 한 점에 부딪히는 빛줄기가 많을수록 그 부분은 환하고 부드럽게 보이고, 빛줄기가 적을수록 어둡게 보인답니다. 적분으로 빛줄기를 모아라!마지막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빛줄기를 모두 더하는 건 ‘적분’의 몫입니다. 우선 만들려는 캐릭터 표면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속 선생님 ‘콴다’ QandA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데이터머신이라고 부른다. 왜 데이터머신일까?모든 학생이 공부할 때 잘하고 못하는 부분이 다르다. 학생마다 질문하는 문제도 제각각이다. 만약 학생 한 명, 한 명의 질문을 분석할 수 있다면, 학생마다 갖고 있는 취약점을 찾을 수 있다. 취약점을 찾으면 그에 맞는 공부법도 제공할 수 있다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