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뉴스가 나온 적이 있어요. 하지만 인도네시아는 1900년부터 출생 기록을 작성하기
시작
해서 그가 언제 태어났는지 알려주는 공식 기록은 없어요. 그래서 그가 실제로 146살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요.지금까지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는 가장 오래 산 사람은 프랑스의 할머니 ‘잔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표시해 확인해 보니, 2011년 이후 급격히 기온이 올랐어요. 소리의 크기가 줄어들기
시작
한 시기와 거의 일치한 거죠. 이 소리를 직접 녹음한 버니 크라우스 박사는 “2019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1970년 이후 미국 북부 지역에서 조류 30억 마리가 사라졌다”면서 “노래하는 새들의 수가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분야를 설명하기 위해 단어 하나하나를 신중히 고르는 모습이셨지요.“코로나 사태가
시작
되고 뉴스에서 ‘역학’, ‘역학조사’ 같은 단어를 들어 본 적 있을 거예요. 역학조사는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의 원인을 찾고, 이를 막는 방법을 밝히는 일이에요. 사회역학자는 질병의 원인을 사회 속에서 ... ...
빙하 감시단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돌발 붕괴가 언제 일어날지, 붕괴 후엔 어떤 영향이 있을지를 예측하고자 탐사를
시작
했어요. 스웨이츠 빙하가 빨리 녹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스웨이츠 빙하가 있는 서남극 대륙은 해발고도가 해수면보다 낮고, 따뜻한 바닷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돼 얼음 아래를 녹이고 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에너지를 방출하는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시작
해요. 원시별이 드디어 스스로 빛나기
시작
하는 거죠!이렇게 태어난 별들은 각각의 질량에 따라 다른 인생을 살게 돼요. 질량이 작으면 별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느리게 일어나요. 그래서 어둡지만 오랫동안 빛나는 적색왜성이 되지요. 반대로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아니라 일부분만 가리는 부분일식이지요. 서울을 기준으로 오후 3시 53분에 해를 가리기
시작
해서 오후 5시 2분에 최대로 가려져요. 그러다 오후 6시 4분에 끝나지요. 지구촌 일부 지역에서는 태양의 가장자리만 보이는 금환일식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번에 뜨는 달의 크기가 작기 때문이랍니다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보고 나선팔의 자취를 사진 위에 표시하는 겁니다. 사진에서 나선팔로 보이는 부분의
시작
과 끝부분을 잘 확인해서 마우스나 터치 펜을 이용해서 따라 그리면 됩니다.시민천문학자가 보는 나선은하의 사진은 나선을 그리기 쉽게 ‘전처리’한 사진입니다. 사진처럼 측면에서 타원 모양으로 촬영된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위한 준비를 이전보다 빨리
시작
한다. 그 결과 비정상적으로 이른 시기에 생장을
시작
한 나무가 뒤늦게 닥치는 추위로 피해를 입는 것이다. 한편 국립생태원에서는 2015년부터 구상나무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구상나무 주변 ... ...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연구는 여타 선진국에 비해 길지 않다. 본격적인 핵융합 연구는 2007년 KSTAR가 건설되며
시작
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에 수많은 연구성과를 내며 핵융합 에너지 강국에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로한국의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는 총 네 단계로 이어진다. 초전도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생산하는 부품)처럼 핵융합 발전에 필수적인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도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
한 단계입니다. 이외에도 플라스마를 운전하는 기술과 시뮬레이션 기술 등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박차를 가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를 이끌어나갈 계획입니다. 핵융합 에너지가 미래사회를 위해 꼭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