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2025년 세계 최대 인공태양이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 뜬다. 이 태양의 이름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지금까지 진행된 인류의 과학 연구 역사상 가장 오래 공들인 프로젝트다. ITER는 핵융합 에너지의 실용화 가능성을 직접 대규모 장치를 건설해 검증하는 것이 목표다. ITER는 올해 7월 본격적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등 아프리카 남쪽에 위치한 국가들은 DNA 기술을 이용해 본격적인 밀렵꾼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뿔소 사체 발견 시 DNA 샘플 채취를 의무화하고, 살아 있는 코뿔소의 DNA도 채취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스티븐 오브라이언 러시아 세인트피터스버그대 교수는 CNN과의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실험하듯 내린 결정이었다. 작가가 된 이후의 삶2018년에는 프리랜서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길게 잡지 않고 일 년만 작가로서 살아남기를 시도해 보고 실패하면 다른 일을 하러 가자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한 달 용돈으로 쓸 만큼도 수입이 없어서 공모전 상금으로 받은 돈을 썼다. 일은 천천히 ...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방 탈출 카페의 테마를 기획해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해주셨고 그렇게 본격적으로 기획을 시작했습니다. 여러 기획자와 함께 만든 테마도 있지만 저 혼자 기획한 테마는 제로월드 ‘콜러’, 대학로 비트포비아 ‘지금 만나러 갑니다’, ‘구룡, 잠들지 않는 도시’가 있어요. 방 탈출 테마를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우당탕탕 삼산텍의 미래는 수학에 달렸다! 남도산의 이름을 딴 ‘도산텍’부터 시작해 도산의 친구 용산, 철산이 더해지면서 새로운 스타트업인 삼산텍이 됐지만, CEO도 겨우 데려올 정도로 상황은 좋지 않다. 이런 삼산텍에 필요한 건 바로 ‘수학’이다! “1부터 100까지 더하는 계산법을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좋아하는 일인지 아닌지 알 수 있어요. 저도 수영, 탁구 등 다양한 것을 시도하다 복싱을 시작했는데 저와 딱 맞았거든요! 나이는 숫자에 불과! 진로를 향한 무한 도전~안녕하세요, 유튜브 채널 ‘강철헬스전략’을 운영 중인 헬스트레이너 강철진입니다. 100세 시대를 맞아 앞으로 사람들은 ... ...
- [한페이지 뉴스] ‘이이제이(以夷制夷)’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식품첨가물로도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그 결과 미세 유리관 출구 부분에 땀이 맺히기 시작한 지 3분 30초 만에 인공 땀 속 화학물질들이 결정을 이룬 겔 형태의 물질이 형성됐다. 겔 형태의 물질은 미세 유리관 출구를 막아 땀이 새어나오지 않게 했다. 인공 땀을 밀어내는 압력을 높여도 땀은 나오지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처음 메이킹을 접할 때는 나무젓가락이나 아이스크림 막대 같은 구하기 쉬운 재료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남겼습니다. ●과학동아 6월호작품명 : 달고나 활장발이 인상적인 메이커 기주님은 이 자리에 참석하기 위해 전국일주를 멈추고 올라왔다고 합니다. ‘달고나 활’을 들고서요 ...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작업은 2007년 시작해 공사가 약 70% 완료된 상태다. 핵심 부품 조립은 올해 7월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계획보다 늦었지만, 2025년 말까지 ITER 건설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밤낮없이 작업하고 있다. Q. ITER는 7개 국가가 참여한다. 회원국의 임무는?→ 현재 모든 국가는 ITER 건설에 필요한 부품을 ... ...
-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는 여타 선진국에 비해 길지 않다. 본격적인 핵융합 연구는 2007년 KSTAR가 건설되며 시작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에 수많은 연구성과를 내며 핵융합 에너지 강국에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로한국의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는 총 네 단계로 이어진다. 초전도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