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스페셜
"
분야
"(으)로 총 3,606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세기말 아시아엔 큰 비 많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강우량을 크게 늘리고 한반도 지역의 강우량도 함께 증가할 것이란 연구 결과를 기후
분야
국제학술지 ‘기후저널’ 25일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인도를 비롯한 서남아시아부터 동아시아까지 여름 기후가 장기적인 기후변화에 어떻게 변화할지 수치 모델링 기술을 이용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 ...
과학기술 논문·R&D 보고서 활용해 기계학습 데이터 구축한다
연합뉴스
l
2020.07.24
받는다. KISTI는 사업 참여자들이 기계학습 데이터 구축 역량을 계발해 향후 과학기술
분야
기계학습 데이터 레이블링 전문 인력으로 계속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 등을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자세한 내용은 KISTI 홈페이지(https://kisti.recruiter.co.kr)에서 25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과학기술 기계학습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넘어 은하의 지위를 갖게 된 것은 20세기 하고도 20년이 더 지나야 했다. 놀랍게도 전혀 이
분야
와 어울려 보이지 않는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는 허셜과 달리 우주가 무한하며 성운은 독립적인 은하라고 주장했다. 물론 이는 관측으로 얻은 결론은 아니었다. ※ 참고자료 -성운과 성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수박과 비슷한 맛과 색을 지녔다는 결과가 나왔다. 뮌헨대 제공 한편 지난해 5월 생물학
분야
학술논문 선공개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인(bioRxiv)에는 3500년 전 이집트 미라가 들어있는 관에 깔았던 수박 잎의 게놈을 해독한 연구결과를 담은 독일 뮌헨대 연구자들의 논문이 공개됐다. 보통 학술지에 ... ...
"기초연구 주도권 잡을 기회 놓쳤다" '방역선진국' 한국 기초연구에선 목소리 못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기관의 경우 코로나19 사태가 일어나기 전 과거에는 바이러스나 감염병과는 관련 없는
분야
연구를 병행하는 등 온전히 바이러스에만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역 주민 역시 바이러스 관련 연구소가 입지하다고 하면 거부감을 표시하는 경우도 많아 연구소 입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 ...
[과학게시판] 화학연, 화학대중화 온라인 홈페이지 '케미러브' 열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세부추진전략 중 하나인 ‘안전망 강화’ 계획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과기
분야
에선 2025년까지 1조 2000억 원을 투입해 인공지능(AI)과 소프트웨어(SW) 핵심인재 10만 명을 키우고 녹색융합기술 인재 2만 명을 양성하는 계획이 포함됐다. ■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
ETRI, AI 음향인식 기술 국제대회서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연구팀은 “AI가 시각과 언어 인식
분야
에서는 인간을 앞서나가기도 하지만 청각
분야
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전자 귀처럼 모든 음향을 인식하는 수준을 목표로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신체기능의 이상이나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휴먼 청각 및 ... ...
우주산업 '압축성장' 아이콘 떠오른 UAE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실력을 지닌 국가에서만 탐사선을 보내는 데 성공한 행성이다. 중국이나 인도 등 우주
분야
를 적극 개발하고 있는 나라도 아직 본격적으로 화성 탐사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 달 탐사를 통해 경험을 축적한 뒤에 화성을 탐사한다. 지난해 9월에는 UAE 최초의 우주인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 ...
"중국 추격, 미중갈등에서 앞서나가려면 '소부장 2.0'로 맞서야"
2020.07.20
계획이다. 사실상 소부장 대책이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넘어 미래 한국의 산업과 기술
분야
의 향방을 쥔 ‘열쇠’로 확대된 것이다. 정부 각 부처에 산재한 소부장 R&D 대응책을 총괄해 온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으로 이번 사태를 ... ...
인공지능 기반 공정 최적화 연구로 금형 주조 불량률 절반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극복하려면 생기원과 힘을 합치는 게 필요하다”며 “생기원은 기업이 풀기 어려운
분야
를 도와주고 있는데 많은 중견․중소기업들이 생기원의 문을 두드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