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자원을 얻는 일은 영영 불가능했을 것이다. 지구과학자들은 실제로 바닷속 원소의 양을
측정
했고, 공학자와 화학자들은 무수한 시행착오를 거치며 원소를 뽑아낼 방법을 연구했다. 그 결과가 조금씩 눈앞에 나타나고 있다. 육지에서도 구하기 힘든 희귀원소 리튬이 바다 속에서 무한정 나오는 바다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수 있는 재질
측정
시스템을 개발해 여러 디자인을 시도할 수 있다. 또 구성이 복잡하고
측정
이 까다로운 반투명 재질까지도 모델링을 완성했다. 연구실에서 개발한 이 기술을 ‘실감모델링기술’이라고 부른다. 이 기술로 이제는 제품의 외관 모델을 거의 실제와 비슷하게 볼 수 있고, 여러 ... ...
뒤돌아서서 후회하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에 대한 결과들이 뇌 연구학자들에 의해 속속 밝혀지고 있다.뇌과학자들은 창의성을
측정
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격 연상법(remote association test)을 사용한다. 2~3개의 단어를 제시하고 이들과 연관 있는 또 다른 단어를 찾는 검사다. 창의적인 사람일수록 관련이 없어 보이는 제시어들 사이에서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밝혔다. 연구팀은 식용 곤충과 소, 돼지를 1㎏ 키울 때 온실가스를 얼마나 배출하는지
측정
해 비교했다. 그 결과 돼지 한 마리는 *거저리보다 10~100배까지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강물을 오염시키는 암모니아도 곤충이 훨씬 적게 배출했다. 돼지 한 마리는 집귀뚜라미보다 여덟 배에서 열두 배 더 ... ...
중학생 논문집 펴내는 경북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교육프로그램’이라는 책자를 펴냈다. 솔방울의 모양을 관찰해 습도를
측정
할 수 있는‘솔방울 습도계’를 만드는 과정이나 축구공에 담긴 수학을 배우고 ‘바나나킥’을 통해 물리를 공부하는 과정 등이 포함돼 있다. 눈의 착시나 입체효과를 이용해 예술작품을 만드는 과정, 과학을 소재로 해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측정
하는 장치가 발명되기 전 항해사들은 실제로 파도와 거품을 이용해 바람 속도를
측정
했다. 19세기에 활용된 ‘보버트 풍력 단계’가 그 예다. 당시에 보버트 풍력 6단계는 ‘흰거품의 물마루를 일으키는 강한 산들바람’을 말했는데, 지금으로 치면 시속 38~48km의 바람을 의미한다. 8단계는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떻게 변하는지를 물리 방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육지와 해상, 상공에서 기상장 비로
측정
한 자료를 모델에 넣고 계산하면 수 시간에서 수백 년까지의 미래 대기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모델에서 지구의 대기 공간은 일정 간격을 갖는 입방체로 표현된다. 실제 대기는 빈 곳이 존재하지 않는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198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코비(COBE)위성이 우주배경복사의 전체 스펙트럼을
측정
하는데 성공했다.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우주가 처음에는 현재보다 수십만K나 더 뜨거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코비 위성은 1992년에도 우주가 모든 방향에서 1000분의 1이상의 정확도로 같은 비율로 팽창하고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커져 육안으로 쉽게
측정
할 수 있다. 그래서 애벌레의 단계별 성장 과정을 머리 크기로
측정
한다.모든 종류의 애벌레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머리의 특징은 윗부분부터 아래쪽까지 연결되는 뒤집어진 Y자 모양의 선이 있다는 것이다. 중심부에 삼각형 모양의 이마가 있고 그 아래로 이마방패가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처럼 곤충을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들이 두 개의 눈을 갖고 있는 이유는 정확한 거리
측정
을 위해서다. 좌우 눈은 약간 다른 위치에서 보기 때문에 두 눈으로 들어오는 상은 약간 다르게 나타난다. 이 두 개의 상 정보를 대뇌에서 종합해 인식하기 때문에 대상 물체까지의 거리, 움직임 등을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