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198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코비(COBE)위성이 우주배경복사의 전체 스펙트럼을
측정
하는데 성공했다.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우주가 처음에는 현재보다 수십만K나 더 뜨거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코비 위성은 1992년에도 우주가 모든 방향에서 1000분의 1이상의 정확도로 같은 비율로 팽창하고 ... ...
스트레스가 더 좋은 부모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프란시스 모니어 교수는 암컷 청둥제비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수치를
측정
했다. 이 호르몬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한 종류다. 그 결과 둥지 크기가 두 배인 암컷의 호르몬 수치는 다른 암컷의 두 배로 나타났다.모든 암컷 청둥제비의 호르몬 수치는 새끼를 낳고도 줄지 않았다. 오히려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기에는 표본의 수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휴대전화 통화량을 실시간으로
측정
하지 않고 질문지로 조사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휴대전화 업체가 환자의 통화정보를 제공하면 더 정확한 연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두 그룹의 연구 결과에 일치하는 부분도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커져 육안으로 쉽게
측정
할 수 있다. 그래서 애벌레의 단계별 성장 과정을 머리 크기로
측정
한다.모든 종류의 애벌레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머리의 특징은 윗부분부터 아래쪽까지 연결되는 뒤집어진 Y자 모양의 선이 있다는 것이다. 중심부에 삼각형 모양의 이마가 있고 그 아래로 이마방패가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처럼 곤충을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들이 두 개의 눈을 갖고 있는 이유는 정확한 거리
측정
을 위해서다. 좌우 눈은 약간 다른 위치에서 보기 때문에 두 눈으로 들어오는 상은 약간 다르게 나타난다. 이 두 개의 상 정보를 대뇌에서 종합해 인식하기 때문에 대상 물체까지의 거리, 움직임 등을 ... ...
앎의 기쁨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들면 큰 전압이 생산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생산되는 전압은 작았고,
측정
값보다 오차값이 더 큰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실험 단계를 밟아가는 동안 학생들은 새로운 의문이 들었고, 그 의문에 대해 질문해 왔습니다. 필자는 안 될 수도 있다는 상식보다는 생각한대로 한번 실험해보라는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짧아 풍경이 심하게 왜곡돼 보이는 현상이 생긴다. 하늘에 있는 구름의 양을 전체적으로
측정
하기 위해 쓰이던 렌즈다.실내 사진 잘 찍는 3가지 비법 실내에서 사진을 찍으면 어둡거나 흔들린 사진이 많이 나온다. 카메라가 충분한 빛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플래시를 쓰면 너무 밝게 나오고,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측정
하는 장치가 발명되기 전 항해사들은 실제로 파도와 거품을 이용해 바람 속도를
측정
했다. 19세기에 활용된 ‘보버트 풍력 단계’가 그 예다. 당시에 보버트 풍력 6단계는 ‘흰거품의 물마루를 일으키는 강한 산들바람’을 말했는데, 지금으로 치면 시속 38~48km의 바람을 의미한다. 8단계는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측우기를 발명하기 전에는 땅을 파서 흙이 젖어 있는 깊이를 보고 비가 온 양을
측정
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아서 문제였다.“비를 받는 통을 구리나 철로 만들어서 재면 되는 것 아니요?”고르리 박사는 그만 측우기 발명에 대해 말을 꺼내고 말았다. 그 때였다. 악당 업새블라가 어울리지도 않은 ... ...
숨 잘 쉬는 물고기가 무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활동하며 소모한 열량으로 계산했으며, 최대신진대사율은 물고기의 최대 속력을
측정
한 결과를, 산소호흡능력은 최대신진대사율에서 신진대사율을 뺀 값을 이용했다.이 결과 물고기 떼에서 물고기의 위치는 최대신진대사율과 산소호흡능력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물고기떼의 뒤쪽에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