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경험이 있는 친구라면 ‘찍찍’ 소리만 들어도 식은땀이 나고, 몸이 굳는 느낌이 들 거예요. 진짜로 쥐가 보인다면 재빨리 도망갈 수 있도록 몸이 미리 긴장하는 거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멍멍! 황금개띠 해의 주인공은 누구?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 ... ...
- 내 꿈에 꼭 맞는 새로운 수학교육이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때도 실질적인 학습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업 내용과 동떨어진 문제는 평가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 초등학교에서 무게 단위 사이의 관계에 대해 평가할 때 ‘1g과 1t 사이의 단위 환산을 하지 않는다’거나 중학교에서는 ‘경우의 수는 두 경우의 수를 합하거나 곱하는 경우 정도로만 다룬다’고 정해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바꾸라는 기호입니다. 모든 짝순열, 혹은 홀순열은 호환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6 7 10)은 호환 두 개를 이용해 (6 10)(6 7)로 나타냅니다. 이 기호는 표준 배열에서 오른쪽에 있는 호환을 먼저 적용해 6과 7의 자리를 바꾸고, 다시 6과 10의 자리를 바꾸라는 뜻입니다. 비슷하게 (11 16 15 12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상황입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는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중국과 캐나다를 예로 들었습니다. 공동체 의식이 강한 중국 사람들은 부모가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는 교육 방식이 관심이고 사랑이라고 답한 반면, 캐나다에서는 유사한 행동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했습니다. 사람마다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않았었죠. 2007년 연구팀은 유전체를 통째로 세포에 이식하는 두 번째 과제를 예상보다 일찍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마이코이데스 유전체를 마이코플라스마 카프리콜럼(Mycoplasma capricolum, 카프리콜럼)의 세포에 이식했습니다. 그러자 놀랍게도 기존 카프리콜럼이 지니고 있던 세포의 특성은 완전히 ... ...
- [Culture] 우리 강아지, 유치원에 보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보상과 연결지어 두려움의 심리 상태를 바꾸는 것인데요. 거미를 무서워하는 사람을 예로 들자면, 살아있는 거미가 아닌 영화 스파이더맨의 캐릭터를 보여주고, 귀여운 거미 인형을 경험하게 하고, 유리 집 안에 있는 아주 작은 거미를 멀리서 보는 등 조금씩 강도를 높여가며 스스로 다가갈 수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발견됐지만 남극좀새풀 유전자에는 강한 추위에 더욱 특화된 정보가 포함돼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해당 유전자를 벼에 삽입해 추위에 견디는 내냉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했다. 벼는 남극좀새풀과 같은 벼과에 속하는 친척관계이면서도 냉해에 매우 약한 작물이다 ...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학생”이라며 “그런 학생이라면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에서 하고 싶은 것들을 모두 해보고 졸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만들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자기부상열차 등이 이런 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예다. 여러 가지 신소재의 개발과 이용탄소 원자의 결합 구조와 배열을 변화시킨 신소재인 풀러렌과 탄소나노튜브, 그래핀은 탄소 나노 소재를 이용한 ‘3종 세트’로 불린다. 풀러렌은 1985년 발견됐으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미클로시 러츠코비치는 상식을 깬 답을 찾았습니다. 타르스키 문제에 대한 답이 ‘예’라는 것을 증명한 겁니다. 러츠코비치는 속이 꽉 찬 원을 1040개의 점의 집합으로 잘 나누면 각 집합을 잘 평행이동한 뒤 모아서 넓이가 같은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지요. 다만 이때 각 조각은 바나흐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