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킨은 피보나치 수열로 시키세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유일하다. 제켄도르프 정리를 이해하기 위해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100을 피보나치 수로 분해한다고 해봐요. 그러면 100=89+8+3, 100=89+8+2+1, 100=55+34+8+3 같은 방법이 있어요. 하지만 이중 100=89+8+3만 제켄도르프 정리를 따릅니다. 100=89+8+2+1은 1과 2가 연속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융합되는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거대 소수 찾기 프로젝트를 한 예로 들었다. 소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아직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소수를 찾는 프로젝트로, 수학과 SW의 융합이다. 김 원장은 “미래에는 수학으로 풀어낸 식을 컴퓨터 코드로 바꾸는 능력이 중요해질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속에 틱택토가? 슈퍼 틱택토!이제 틱택토 계의 끝판왕, ‘슈퍼 틱택토’를 소개할 차례예요. ‘최상의 틱택토’라고도 부르는 슈퍼 틱택토는 게임판 크기가 크게 보면 3×3인데, 각 칸에는 또다시 3×3 게임판이 있어서 사실상 9×9인 셈입니다. 규칙은 이렇습니다. 9개의 3×3 틱택토 중의 하나를 선택해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스톤만큼은 아니지만 인피니티 스톤과 비슷한(?) 물질을 현실에서 찾아봤습니다. 한 예로 공간을 지배하는 능력을 가진 푸른 빛깔의 ‘스페이스 스톤’은 우주론의 웜홀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바일 준금속’과 닮았습니다. 바일 준금속은 금속성과 절연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독특한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보는 데 그치지 않고 반려동물을 대하듯 직접 만지고 먹이를 주며 서로 교감하는 거예요. 초, 중, 고등학교에서는 모션 트래킹 기술과 AI를 이용해 여러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직업을 경험해 보면 진로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고, 역사 속 장면을 재현한 가상공간에 ... ...
- FIFA 세계 랭킹에 숨은 모든 것!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치열한 승부를 통해 승자와 패자로 갈리는 축구의 세계에서 자기가 응원하는 팀이 강한 팀이길 바라는 건 모든 팬의 소망이지요. 같은 리그 안에서 서로 경 ... 월드컵에서 어떤 국가가 선전할지, 어떤 이변이 일어나고 또 어떤 랭킹 변화가 일어날지 예상해 보는 것도 재밌지 않을까요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도형을 대칭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처음과 합동이 되는 도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으로 정육면체 유닛을 만들 수 있다. 먼저 ➊처럼 중심 분할한 두 정사각형을 이어 붙인 뒤, 빨간색 선을 따라 4조각만 잘라낸다. 그러면 점선의 중점이 대칭점인 점대칭 도형이 되고, 이를 활용해 ... ...
- 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x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말해. 예를 들어 [2.5]=2, [-2.5]=-3이지. 히우드 추측의 유일한 예외 그런데 미국 수학자 필립스 프랭클린이 클라인 병에 그린 어떤 지도도 6색이면 충분하다는 걸 증명한 거야. 클라인 병은 서로 다른 꼭짓점이 1개, 변이 2개, 면이 1개니까 오일러 지표가 1-2+1=0이야. 히우드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시스템을 완성했다”며 “5년 이내로 안정적인 실험값을 낸 뒤 외국과 실험값을 비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역학표준센터 연구팀은 키블 저울을 설계할 때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디자인을 적용했다. 저울을 가동할 때 힘이 수직방향 외에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5를 동형암호로 암호화한 결과를 쉽게 말하면 각각에 매우 큰 수(비밀키)를 더한 값이다. 예컨대 10과 15를 12345라는 비밀키로 암호화한 수는 10+(12345×3), 15+(12345×5) 같은 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3과 5는 비밀키를 감추기 위해 임의로 부여하는 수다. 이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10과 15를 더하는 상황을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