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얻을 수 있어요. 위 식을 만족하는 c1~c9을 모두 구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해 보일 거예요. 그런데 M1~M9은 모두 두 번 더하면 더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니까 c1~c9은 0 또는 1만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이 사실을 알면 위 식을 만족하는 c1~c9 값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먼저 c1, c2, c3에 0 또는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환자가 증가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2014년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해 ‘모기 예보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60곳에 유문등(빛으로 모기를 유인하는 등)을 설치하고, 자치구별로 2대씩 총 50대의 디지털 모기측정기(DMS)를 설치했다. 디지털 모기측정기는 모기를 포집해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좋겠다”며 “태극기로 관포된 전사자를 직접 옆에서 보는 경우에는 가슴에 손을 얹어 예우를 다해준다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신원 확인된 전사자는 1%에 불과발굴된 유해는 임시봉안소에 머문 뒤, 현장의 기초감식소로 보내진다. 성별, 연령 등 육안으로 감식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한 뒤,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레벨디자이너가 되려면 어떤 소양이 필요한가게임의 비주얼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만큼 예술적인 감각이 중요하다. 게임 개발자는 분야에 따라 하는 일이 다르다. 기획자는 재미있는 게임을 기획하고, 프로그래머는 기획 의도대로 프로그래밍을 짜야 하며, 디자이너는 사실적이고 아름답게 표현해야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직장을 둘러싼 경쟁은 날이 갈수록 심해질 수밖에 없다.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며 ‘취업 예비군’으로서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여성의 미혼율을 높아지고, 출산율은 떨어진다. 따라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방향도 기존과 달라질 필요가 있다. 유배우 여성에 대한 출산 지원 정책을 지속하는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관심이 많아 역사 속에서 발견된 소재들을 합성하는 실험을 해 보자고 제안해 직접 예비실험을 준비하고 이와 관련한 발표도 준비했습니다. 또 동아리에서 수행한 실험을 다듬어 주변의 지역아동센터나 지역 박물관, 인근 중학교, 지역사회 축제 등에서 체험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A와 B 두 학생에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적수를 말해요. 특정 생물을 공격해 먹이로 삼는 생물을 ‘천적’이라고 부르지요. 예를 들어 고양이는 쥐의 천적이고, 둘은 천적 관계라 할 수 있어요. 동물은 대부분 천적이 있어요. 그래서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는 동물들은 주위 환경과 비슷하게 몸의 색깔을 바꾸는 보호색 등의 방법을 써서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패턴의 특징값을 추출해 일반 유저인지 아닌지 판단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작업장의 경우 게임 승패에는 관심이 없고, 재화를 캐기 위한 특정 행동만 무한 반복하거나 획득한 재화를 한 유저에게 몰아주는 특징이 있다. 최근 작업장 탐지 인공지능은 ‘메이플스토리 M’에서 매크로 ... ...
- [Tech] 모델명 ASUS ROG Centurion 7.1, 게이밍 헤드셋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요즘 PC방 사용시간 순위 1위라는 ‘배틀그라운드’를 예로 들면, 적이 정확히 어떤 방향에서 다가오는지 자갈을 밟는 소리 등을 통해 유추해야하고, 폭격 소리가 들리는 곳을 재빠르게 피해야 치킨을 먹을 수 있습니다(우승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멀티채널 음향을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유의지를 갖는다는 가정이 필요하고, 인간의 자유의지는 여전히 철학과 뇌 과학에서 첨예한 논쟁이 되고 있는 이슈다. 김상욱KAIST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희대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양자과학, 정보물리, 통계물리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김상욱의 양자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