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사회로, 필즈상의 의미부터 올해 수상자들의 이야기까지 2018 필즈상의 모든 것을 밝혀줄 예정입니다. 특집 기사를 재밌게 읽은 독자라면 이번 강연을 놓치지 마세요!강연 일시 : 2018년 9월 6~7일오후 7시 30분~9시 30분장소 : 서울 블루스퀘어 3층 카오스홀참가대상 : 중학생 이상 수학동아 독자참가비 : ...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개념이 생깁니다. 평균율은 처음부터 음을 균등하게 나누는 조율법입니다. 예를 들어 서양 음계는 한 옥타브에 12개의 음이 있습니다. 피아노 건반이 흰 건반 7개, 검은 건반 5개를 한 세트로 연속해 나오는 것을 생각해 보면 돼요. 평균율은 기준이 되는 ‘도’의 진동수에 지수함수 값을 곱해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대칭해도 겹치지 않는 방법들을 먼저 찾은 뒤, 대칭해서 다른경우만큼 더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4-퀸즈 퍼즐은 그림❸과 같은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판을 좌우 또는 위아래로 뒤집었을 때 겹치는 모양을 한 가지로 치면 총 2가지 방법이 있지요. 이렇게 모든 방법을 찾을 때는 하나를 찾은 뒤, ...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취업률은 15%에 불과했지만, 알고리즘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정착지에 배치된 경우에는 예상 취업률이 26%로 증가했다.제레미 와인스타인 미국 스탠퍼드대 정치학과 교수는 “그간 난민 문제에서 유입 여부에 대한 관심만 많았을 뿐, 난민 지위가 인정된 이들이 정착 이후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 ...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비례한다는 이상기체 방정식(PV =nRT =NkT )을 예로들면, 부피가 2배가 되면 켈빈 단위의 온도 역시 2배가 된다. 섭씨온도는 이 같은 연산이 불가능하다. 켈빈은 섭씨온도보다 약 100년 늦게 나왔지만, 오늘날 섭씨온도는 켈빈의 정의에 종속된다. 새로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더 알아보기 위해 실험실에서 정자의 움직임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는데요. 한 예로 마이클 에이슨바흐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생화학부 교수팀의 정자 실험을 소개합니다.doi:10.1371/journal.pone.0041915에이슨바흐 교수팀은 긴 관에 정자를 넣고 한쪽 끝은 상대적으로 차갑게, 다른 한쪽 끝은 ... ...
- [Culture]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려야 한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무엇보다도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는 옛 속담만 기억한다면 소유공격성을 예방할 수 있다. 김선아충남대에서 수의학을 전공하고 수의사가 된 뒤, 서울대에서 동물행동의학 및 야생동물의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내 최초로 동물의 정신과 진료를 전문으로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8] 자기소개서, 어떻게 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어떤 역량을 강조할 것인지 판단할 때 인재상이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공학계열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자기소개서 1번인 학업 관련 문항에 답할 때 공학계열 학과의 필수과목인 수학, 물리에 대한 경험을 우선 고려해봐야 한다. 다음으로 진로는 학생의 발전가능성을 보여줄 수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지도한 아버지의 제자입니다. 지금은 은퇴하고 도쿄에 머물며 다양한 학술 및 예술행사를 지원하는 활동을 합니다. 사진 찍는 걸 무척 좋아하세요. 지금 집에 도착했는데도 신발을 벗지 않고 밖에서 계속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18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Par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거예요.어떤 수가 소수인지 잘 모르면 소인수분해를 할 때 애를 먹는 경우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1,125,897,758,834,689를 소인수분해하려면 골치 아픕니다. 2, 3, 5, 7… 아무리 나누려고 해도 안 나눠지니까요. 이 수가 소수면 소인수분해를 할 필요도 없겠지만, 소수인지 아닌지도 모르지요. 여러분의 속이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