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영양 상태나 생활습관 같은 환경적 요소로 결정됩니다. 태연이도 어쩌면 아버지의
유전
자를 물려받아 키가 작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장호르몬과 성호르몬이 대량으로 분비되는 시기에 키가 자라도록 노력한다면 5~10㎝는 더 클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 ...
돼지 없이는 못 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걱정하지 마세요. 저는 바로 그 알파갈을 제거한 돼지랍니다. 즉, 면역거부반응을 없앤
유전
자를 미니 돼지 체세포에 넣고, 이 체세포를 핵을 없앤 일반돼지 난자에 넣어 복제 수정란을 만들었어요. 그 다음 이걸 일반 돼지 대리모에게 이식했고, 그 결과 장기이식용 미니 돼지가 태어난 거죠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행보에 이목이 쏠린다. 이정호 기자 sunrise@donga.com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언어
유전
자는 존재하나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 ...
눈에
유전
자 넣어 색각이상 극복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람의 색각 이상도 치료할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다.나이츠 교수는 “바이러스로
유전
자를 넣는 방식이 사람에게도 무해한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며 “수술한지 최소 1년이 지난 뒤에도 아무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한 다음에야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연출, 기획까지 맡은 그는 2150년 미래에는 맞춤형으로 기억을 성형하거나 맘대로
유전
자를 개발할 수 있어 기계 몸을 가진 하이브리드 인간이 나타날 것이라는 유쾌한 상상을 했다.캄캄한 무대에는 여러 대의 스크린이 있다. 무대 양옆에는 길고 폭이 좁은 스크린이 있는데, 배우의 확대된 눈들이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최근 경북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인규 교수팀은 ‘MB12066’이라는 물질을 넣으면 종양 억제
유전
자인 p53이 활성화하면서 세포 증식을 억제해 혈관이 다시 막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교수는 “최대 90%까지 혈관재협착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이외에도 쓸개즙이 간에서 만들어져 쓸개로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마이크로RNA의 염기서열대로 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해야 할까.“인공 마이크로RNA는 특정
유전
자가 들어 있는 mRNA에 붙기만 하면 됩니다. 그래서 기존 마이크로RNA와 염기서열이 똑같을 필요는 없죠. 다행히 마이크로RNA와 복합체를 이루려고 하는 단백질은 RNA 조각의 크기와 구조만 따져 결합합니다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갈치의 은빛은 구아닌(guanine)에서 유래한다. 구아닌은 핵산의 일종이며, 사람의
유전
물질인 DNA의 재료가 되는 물질이다. 그런데 구아닌의 화려한 색깔 이면에는 한 가지 위험요소가 숨어 있다. 구아닌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기 때문이다. 낚시로 끌어 올린 싱싱한 은빛 갈치는 일급 생선회가 된다.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유형의 문제가 2008학년도 수시 2학기와 정시에 모두 출제됐다. 2009학년도 모의고사의 ‘
유전
과 확률’ 그리고 ‘식의 구성과 미적분’이라는 수리관점의 테마는 2009학년도 수시에 역시 출제됐다. 따라서 2010학년도 수시 2-2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2010학년도 모의고사를 철저하게 분석하는 것이 매우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준다. 근대적 의미의 정통 생물 분류학은 종 사이의
유전
적 연관성뿐만 아니라 생물의
유전
자에 남겨진 진화의 흔적까지 고려해 그 절대성과 정통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비정통의 의미를 복원하는 데도 힘써야 한다. 포스트모던 철학의 이론적 토대를 세운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의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