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길을 기피하게 됐기 때문이다. 연구논문 한 편 쓰는 데도 첨단 분자생물학이나
유전
공학 같은 분야에 비해 훨씬 시간이 오래 걸린다. 논문 수는 현대 과학계에서 과학자의 업적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국내 대부분의 언론은 새로운 품종에 부과되는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GM 작물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거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작물 자체가 가진
유전
자만으로는 품질을 개량하는 데 한계가 있을 테니 말이다. 분자육종의 발달에 따라 GM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회적 합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에도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단백질(60개)로 이뤄진 캡시드가, T=3일 때 축구공 같은 구조가 생긴다. 결국 바이러스는
유전
체가 커져 캡시드 내부에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할 경우 T값이 커져 이 문제를 해결한다. 그런데 왜 T=2나 T=5는 안 될까. 그것은 T가 아래의 식으로 주어지기 때문이다.이 식을 이해하려면 정이십면체를 찬찬히 ... ...
유전
의 핵심은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폐렴쌍구균 실험으로 DNA가 형질전환을 일으키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DNA의 양을 증폭시킬 수 있는 PCR기술을 통해 생명과학기술은 크게 발전했다.DNA는 종을 결정짓는 부분과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뤄진다.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A형간염 바이러스는 세포에 감염돼도 세포질에 머물러 있지만 B형간염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이 들어 있는 핵 속까지 파고들어 간다. 이런 이유 때문에 B형간염 바이러스를 죽이는 게 A형간염 바이러스보다 더 어렵다.B형간염 바이러스 때문에 생기는 골치 아픈 문제가 하나 더 있다. 바로 D형간염이다.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뉴욕대 의대 대니얼 메루엘로 박사팀은 “모기를 감염시키는 신드비스 바이러스에 형광
유전
자를 넣고 생쥐 몸속에 주입해 바이러스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암세포에서만 발견됐다”는 논문을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2004년 1월호에 실었다. 연구팀은 이 바이러스가 암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현상도 들여다봐야죠. 육종도 이제 분자까지 다루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니까요.”
유전
육종체험학교에 참가하려면 홈페이지(mendelschool.kr)로 신청하고 문의는 (033)250-6423으로 하면 된다.글 임소형 기자 sohyung@donga.com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대한민국 육종학의 ... ...
“네안데르탈인 너무 적어 빨리 멸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번식할 수 있는 개체가 많이 존재했다는 뜻이 된다. 많은 개체가 짝짓기를 할수록
유전
자가 더 많이 뒤섞여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개체 수가 적었던 네안데르탈인이 갑작스런 환경 변화 같은 사건에 매우 취약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생존을 위해 자연에서 같은 식량자원을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모르지만 불필요한
유전
자를 제거하면 완벽한
유전
자를 가진 아기를 만들 수 있고,
유전
자 치료를 통해서 불치병을 극복할 수 있다.지금까지 인류는 자연과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 왔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인류는 자신의 진화를 스스로 통제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기술적으로 얼마든지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정반대의 연구결과도 국제 육종학계에 보고됐다. 정 교수는 “오이의 냉해 저항성
유전
자는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라며 “성장하는 동안 각각 다른 시기에 냉해 저항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과일사과 - 해걸이 해결한 신품종사과나무는 ‘해걸이’를 한다. 어느 한 해에 꽃이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