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낮춰서 중얼거렸지만 윤정의 귀에는 똑똑하게 들렸다.“쟤는 로봇말고 데이트해 줄 남자도 없게 생겼다.” 그들은 키득거리며 걸어갔다. 윤정은 속으로 되뇌기 시작했다. 저 사람들의 말이 맞다. 이것은 로봇이다. 사람이 아니다. 성별도 없고, 색깔도 은색이다. 그러니까 이 사람, 아니 로봇과 ... ...
- [과학뉴스]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35억 년에 1초가 어긋나지 않는다고 알려진, 세상에서 가장 정밀한 시계인 광시계를 맞출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팀은 레이저 ... 달라질 가능성도 최소화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중력파 연구와 GPS 개발 등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예측했다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봐야 할 부분”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박정규 교수 역시 “기초연구가 좀 더 진행되고,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훨씬 더 고통이 크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까지 알려진 기술의 위험성을 환자에게 설명해줄 수만 있다면, 결정은 부모에게 맡기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공 광합성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는 인공 광합성이 우리에게 더 많은 것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이윤구 안녕하세요. 재료공학부 2학년에 재학 중인 이윤구입니다.남기태 네, 반갑습니다.이윤구 교수님 연구실 문 앞에 큰 포스터가 붙어있던데, 어떤 포스터인가요?남기태 얼마 전 ... ...
- [과학뉴스] 물고기는 뇌가 작아야 건강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최근 스웨덴 스톡홀름대학교 알렉산더 콧샬 박사팀은 뇌가 작은 물고기가 뇌가 큰 물고기에 비해 면역력이 뛰어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동물들은 진화하는 과정에 ... 콧샬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뇌의 진화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후 이시카와현은 제비가 드나들 수 있도록 대문에 작은 틈을 만들거나 천적을 막아 줄 까마귀 모형을 다는 등 적극적인 제비 보호 활동을 벌이고 있답니다. 제비는 사람들이 바꾼 환경 때문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거였어. 앞으로 우리 흥부자는 제비들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을 가꾸기 위해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쇠젓가락을 넣으면 안 된다고 해서 왜 그런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넣어봤죠. 정말 죽는 줄 알았어요. 절대 따라하시면 안 됩니다. 넣지 말라던 이유를 깨달았죠.”남의 이야기를 듣는 것보다 직접 해보고, 생각하고, 느껴봐야 직성이 풀렸다는 서 교수. 어린 시절 '왜?’라는 생각에서 시작한 엉뚱한 ... ...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케플러 제2 법칙에 따르면 모든 면적의 넓이는 같아요!”단이 확신에 차서 답을 말했지만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답이 틀렸나? 그럴 리가 없는데….”“으아악! ... 싸운 그 수학자 라이프니츠요?!”“그건 저도 잘 모르겠고요. 문제를 풀어 저를 쳇바퀴에서 빼내 줄 수 있을까요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변화하는 지식, 불확실한 정보, 오류에 빠지기 쉬운 인간들의 모험이며, 목숨을 건 줄타기”라고 밝혔다. 그의 관점으로 봤을 때, 간의 복잡한 기능 중 우리가 아직 모르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후유증이 생기는 것일 수 있다.더 큰 문제는 친족 사이의 이식이 많은 한국 특성상 후유증을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