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넣을 필요가 없다. 음료 버튼을 누르는 동시에 자동으로 계산이 된다. 한 손에 커피를 든
채
헤드폰을 귀에 꽂고 ‘MP3소파’에 앉았다. 이 소파에 앉으면 몸을 통해 MP3파일이 헤드폰으로 전송돼 음악을 들을 수 있다.음악 파일을 압축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전송해 감상하기 위해서는 1초에 2MB이상의 ... ...
개미의 그림자놀이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햇빛도 땅을 스크린삼아 물체의 그림자를 남긴다. 그런데 지구는 축이 기울어진
채
자전하므로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계속 변하고 그에 따라 그림자 모양도 달라진다. 하루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은 해 뜬 직후와 해 지기 직전 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길다. 사진에서 개미는 빛과 스크린의 방향을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모르고 계속 제리를 찾는다. 결국 톰은 제리를 찾지 못하고 그렇게 또 제리에게 속은
채
하루를 보낸다. 여기서 드는 궁금증 하나! 쥐는 제리처럼 정말 영리할까?실제로 쥐는 호기심이 뛰어나고 훈련을 잘 소화해 내는 영리한 동물이다. 그래서 미로를 이용해 지능과 학습 능력을 실험하는 데 많이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단백질 구조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숙원과제였다. 단백질은 ‘캡슐’에 둘러싸인
채
이동한다. 그리고 캡슐 표면에 우편번호를 찍는다. 비록 캡슐의 모양이 같더라도 우편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배송지 정보가 헷갈릴 염려는 없다. 단백질이 세포안에서 배달 코스를 돌다가 도착지에 다다르면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연속해서 8장 촬영한 뒤 합성하는 식이다.카메라 셔터를 누른 뒤에는 낚싯대를 드리운
채
월척을 기다리는 강태공 마냥 별빛이 렌즈에 고스란히 담겨지기를 기다리면 된다.필자는 돌아오는 주말에도 천문인마을로 촬영을 떠날 예정이다. 이번에는 어떤 천체사진을 찍어 볼까. 성운? 은하? 예쁘고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
채
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연료탱크를 블랙라이트로 비춰보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지문
채
취가 필요한 범죄 현장이나 과학관, 공연장의 조명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수세기 뒤 다시 눈을 떴을 때 황금빛 햇살을 받으며 함께 홍차를 마시자고 약속한
채
그는 무거운 잠속으로 빠져들었다. 겨우 한 사람만의 인공동면 비용을 마련한 오웰은 아내에게 거짓말을 했다. 하지만 아내가 살아갈 미래를 다진다는 각오로 그는 빙하기를 꿋꿋이 견뎌낼 것이다.▒ 앞으로 1만 5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사랑하는 사람아’를 불렀는데, 그때의 감동은 지금도 잊을 수 없다.어깨동무를 한
채
노래를 따라 부르던 관객들 사이로 열심히 가족의 얼굴을 찾던 기억도 난다. 아빠가 무대에 선 모습을 처음 보는 아이들에게 “봤지? 아직도 내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아”라고 외치고 싶었다 ... ...
안개 속에 감춰진 공포의 진실 미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전신에 심각한 화상을 입었을 뿐이다. 게다가 독침에 쏘인 여자는 얼굴이 팅팅 부은
채
죽고 만다.곤충에게 쏘인 사람이 사망하는 가장 큰 원인은 독성 자체보다는 독성에 대한 인체의 과민반응이다. 이를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라고 부르는데, 몸에 들어온 항원, 즉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계속 이동하다 동남아시아와 합쳐진다고 예상했다.결국 남극대륙만 제자리를 지킨
채
나머지 대륙이 모두 모여 하나의 거대한 대륙을 이룬다는 얘기다. 미국 하버드대의 폴 호프만 교수는 하트나디 교수의 의견에 동의하며 2억 5000만 년 뒤에 나타날 이 초대륙에 ‘아마시아’(Amasia, America+Asia)라는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