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전공
"(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제외시키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대부분 선진국의 학교에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를
전공
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만 선택과목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좀 더 포괄적으로 다양한 과목속에서 컴퓨터를 다루게 하고 있다.한편 CAI의 활용에 있어서는 점차 딱딱한 반복연습형 수업 ... ...
공업디자인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상황에 객관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는 제1의 과제를 안고 있다는 것이다. 여태까지
전공
공부에서 망각했던 점을 새롭게 찾는 순간이었다.●―객관성의 추구한 회사에서만 공업디자이너로 근무한지 5년이 되는 지금, 회사에서의 디자인업무는 이전보다 많이 나아졌지만 아직도 내가 받아들여야 할 ... ...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관한 발명이나, 요즘 첨단기술로 치부되는 유
전공
학 전자공학 분야 등의 기술내용을
전공
을 하지 않은 사람이 다룬다는 것은 누가 보더라도 이해가 될 수 없을 것이다.그러자니 나같이 문과대학을 나온 사람이 뒤늦게나마 공대를 다닐 수밖에 없게 되었다. 사회적으로 86학번의 전자공학과 ... ...
국내에 암약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라호르라는 도시의 중류층 집안에서 태어났다. 형인 앰자드는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
한 후 독학으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프로그램 작성법을 익혔고 처음에는 컴퓨터 수리를 전문으로 하다가 85년경부터 프로그래머로 직업을 전환하였다. 하지만 자기의 프로그램이 함부로 불법복제가 되어서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말해 처음
전공
을 접했을 때의 암담한 기분은 말로는 형용할 수 없을 정도였다. 모든
전공
서적이 원서였는데 영어나 일어로 된 책이었다. 한 페이지를 이해하는데 적어도 30분은 넘게 걸렸으며 그럴 때면 너무 속이 상해서 별 생각이 다 들었다. 우리 나라의 해양학 분야가 좀 더 발전하고 ... ...
일본 과학수사의 총본산에 여성실장 취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3) 가 취임했다. 과학경찰연구실 40년 사상 첫 여성실장이 탄생한 것이다.대학에서 화학을
전공
한 '이노우에'여사는 처음엔 수순화학에 열중했으나 응용화학이 범죄해결의 기초롤 활용된다는 것을 알고 이 분야에 들어섰다.이노우에 여사가 맡고 있는 일은 마약과 가성제 등을 분석하고 체내에서의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배는 1759년 템즈강 하구 채텀해군공창에서 건조된 이후 1805년 트라팔가 해전에서 혁혁한
전공
을 세웠다. 빅토리호는 1825년 이래로 포츠머스 군함의 도크 안에 영구 보존되어 지금은 관광객들에게 당시의 영화를 말해주고 있다.■그레이트이스턴호/덩치 큰 실패작19세기 초엽에 증기기관으로 ... ...
영국 최초의 과학학위 가진 수상「대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화학을
전공
한 '마가렛 대처'수상은 과학분야 학위를 가진 최초의 영국 수상이다. 그러나 그가 막상 과학에 대해 냉담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과학정책의 조정에도 소극적으로 대처한다는 비판이 영국에서 나오고 있다.대처수상은 학생때 실험실에서 열심히 실험하고 능률적으로 일처리를 했지만 ... ...
사인규명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이라며 역사적으로도 해방이후 수차례에 걸쳐 수난을 당한 결과 의사들 사이에 법의학을
전공
하기 꺼려하는 풍토가 조성돼 현재 국내에는 극소수의 법의학자만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또한 "법의학 전문가가 아닌 일반의사들이 부검 및 조사과정에 관여해 의견을 표명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고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예정이라는 소리도 새어 나오고 있다. 과학기술분야의 예비 인재들이 자신의
전공
과는 관련없이 2~3년의 공백을 가져야 한다면 이는 국가적으로 크나큰 손실일 수밖에 없다.연구자율화를 외치면서 새로 부활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고급인력 양성과 연구중심대학이라는 본연의 모습을 되찾기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