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010년 UST를 졸업한 정 교수는 2014년부터 UST에서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연구실 문을 처음 두드린 이는 이왕식 U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캠퍼스 나노바이오공학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다. 이 연구원은 현재 모든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논문 심사만 남은 상태다. 그는 “향후 미세입자의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방사를 승인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에서 GM 모기 방사가 이뤄진 건 부르키나파소가 처음이다. 부르키나파소 현장에 있는 GM 모기 연구팀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7월 1일 GM 모기를 조금씩 방사하기 시작해 현재 매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GM, 즉 유전자 변형의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자신의 발명과 이론을 정리해 논문으로 발표하지 않은데다 기이하고 괴팍한 성격 탓에 처음에는 저평가됐다. 그러나 지금은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전기공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에디슨을 굴복시킨 사업가테슬라가 완성한 교류식 전기 공급 시스템의 특허권은 웨스팅하우스(당시 정식 명칭은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선발되는 과정도 샤먼 박사와 나는 공통점이 많다. 이번 글을 쓰기 위해 그를 인터뷰하며 처음 알게 된 것이지만, 샤먼 박사도 2011년에 나를 만나기 전부터 나와 우리나라 우주인 선발 과정에 대해 듣고 본인과 아주 많은 부분에서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했다. 한국 우주인 선발 사업의 경우는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쿨루프가 실제로 에너지를 얼마나 절약하는지 연구하고 있죠. 살면서 이렇게 바쁜 적은 처음이네요. Q 실패를 무서워하지 않는 비결이 있나요?무섭고 넘어질 것 같고 깨질 것 같아도 한번 부딪혀 보고 깨지고 싸우면 이기든 지든 얻는 게 있어요. 저도 실패를 통해 많이 배웠거든요. 어린 친구들도 ...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완벽한 태양의 흑점 주기 240년사실 태양이 240년 주기로 활동한다는 주장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유럽의 한 학자가 중국의 옛 문헌을 토대로 주장했지만, 신빙성이 없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요. 양 연구팀은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방법’으로 검증을 했습니다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했지만, 피보나치 수열을 처음 생각해낸 건 피보나치가 아니에요. 피보나치 수열이 처음 문헌에 등장한 건 기원전 5세기 인도 수학자 핑갈라의 책에서였고, 그 전부터 쓰였을 가능성이 높죠. 하지만 피보나치가 자신의 책 ‘산술의 서’ 12장에서 토끼 번식에 관한 문제로 피보나치 수를 설명하면서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원래 교환해서 정렬하는 방법은 훨씬 오래전부터 쓰였지만, 거품이라는 재미난 이름이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한 건 1962년 캐나다 전산학자인 케네스 아이버슨의 논문에서였어요. 아이버슨은 컴퓨터과학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수여하는 ‘튜링상’을 받은 학자이기도 해요. 논리력은 ... ...
- [SW 진로 체험] 수학 사랑꾼, SW 개발자로 거듭나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연관이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막상 입사해보니 크게 관련이 없는 거예요. 처음에는 따라가기 힘들어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어요.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했나요?책도 찾아서 읽고 업무 시간에 배운 걸 완벽히 습득하기 위해 복습도 굉장히 열심히 했어요. 모르는 ...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었지만, 스트레스가 신경줄기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 교수는 “이번 연구로 만성스트레스가 유발하는 뇌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열쇠가 SKG3 유전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SKG3의 작용을 억제해 뇌신경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