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일본, 우주에 머물기 위한 필수품, 우주화물선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스테비누스와 푸르네리우스 사이에 계획대로 충돌하면서 임무를 종료했다.일본이 처음으로 달 탐사에 성공한 건 2007년 9월 14일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셀레네(SELENE) 1호 위성이다. 셀레네는 ‘가구야’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일본 전래동화에 나오는 달에서 온 공주를 뜻한다. ... ...
- 탐험┃목성 & 토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아직 형성 과정이 밝혀지지 않았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파이오니어 10호가 1973년 처음으로 목성을 근접 비행했으며,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1호는 1979년 목성을 스쳐 지나가며 지상에서는 볼 수 없던 작고 검은 입자로 된 고리를 찾아냈다. 2011년 발사된 주노는 2016년 목성 궤도에 진입한 뒤 목성의 ... ...
- 질서┃모든 것의 시작 빅뱅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탄생 이후 약 38만 년이 흐른 시점에서 발생한 3000K의 마이크로파였다(우주배경복사가 처음 생성될 당시 3000K였으나, 우주 팽창으로 점점 온도가 떨어져 지구에서 관측할 당시에는 2.725K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그 당시 물질들이 항성이나 은하 형태로 뭉쳐 있는게 아니라 전 우주에 고르게 퍼져 ... ...
- [수학공부 꿀팁] 슈퍼히어로에게 배우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많이 이용한다. 영화뿐 아니라 아이들이 좋아하는 영상을 이용해 수업할 때도 있다.처음에는 초등 교사 자료 공유 사이트 ‘인디스쿨’에 올라온 자료를 사용했다. 그런데 올해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기존의 자료를 사용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다.“수학을 제가 아니라 ... ...
- 탐험┃러시아, 혼자서 할 수 없다, 협력하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그쳤고, 이 임무는 8개월 뒤 발사된 루나 2호가 수행했다. 1966년 2월 3일에는 루나 9호가 처음으로 달에 성공적으로 연착륙했으며, 1970년 9월 루나 16호가 최초로 무인으로 달 토양을 채집해 귀환하는 데도 성공했다. 그해 11월 루나 17호와 함께 최초의 무인 탐사 로봇(로버) 루노호트 1호가 착륙해 ... ...
- 탐험┃ 수성 & 금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NASA)이 1973년 11월 3일 마리너 10호를 발사했고, 마리너 10호는 1974년 3월 29일 처음으로 수성을 근접 비행했다. 수성에 지구처럼 자기장이 있고, 표면은 달과 유사한 크레이터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후 NASA는 2004년 8월 3일 탐사선 메신저를 발사했고, 2011년 3월 18일 수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 ... ...
- 영감┃우주인의 드레스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SNS)에 스페이스X가 개발한 차세대 우주복을 직접 착용한 사진을 올렸다. 이 우주복이 처음 공개됐을 때, 실제 우주복인지 아니면 디자인만 적용한 것인지 논란이 있었다. 우주복치고는 굉장히 ‘슬림’했기 때문이다. 머스크가 입었던 우주복은 여압복의 일종으로, 두께가 얇은 것이 특징이다.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006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우주인 선발 공고가 있었다. 10대 학생부터 중년의 대기업 사장, 생물학 연구원까지 우주를 꿈꾸던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선발에 지원했다. TV에서는 그들의 열정적인 모습을 강조했지만, 현실은 고달프고 힘든 상황이었다. 지원자들은 생업이 걸린 현실의 많은 부분을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조심스레 들어 올렸다. 윤 책임연구원은 “이게 염생식물 중 하나인 칠면초”라며 “처음에는 초록색이지만, 갯벌과 같이 소금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면서 빨간색으로 색이 바뀐다”고 말했다. 칠면초는 잎의 액포에 소금을 가능한 오래 머금고 있다가 때가 되면 잎을 떨어뜨린다. 식물이 살 수 없을 ... ...
- [미국유학일기] ‘오피스 아워’에 자주 찾아가 교수와 친해지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부르라고 하는 교수들도 굉장히 많다. 한국에서 자란 내게 교수를 이름으로 부르는 게 처음에는 매우 힘들었지만, 지금은 많이 편해졌다. 시아 교수는 자주 실험실에 들려 내가 잘 하고 있는지, 실험 계획은 잘 세워져 있는지 확인한다. 그러면서 항상 “넌 정말 훌륭한 대학원생이 될 거야!”라고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