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다릅니다. Q. 그게 어떻게 알츠하이머를 일으킨다는 거죠?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조직(오른쪽)에는 정상인(왼쪽)과 달리, 신경섬유농축체와 아밀로이드반이 침착돼 있습니다. - 경희대학교병원 제공 아밀로이드는 독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 독성으로 주변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지요. 다양한 ... ...
- 울프상 수학부분 올해 수상자는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02.18
- 2017 수학 분야 울프상 수상자로 선정된 찰스 페퍼먼 교수(왼쪽)와 리처드 쉔 교수(오른쪽). - ⓒ프린스턴대,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제공 1월 3일, 2017 울프상 시상식이 이스라엘 에레츠 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울프상은 수학과 화학, 의학, 물리학, 예술, 농업 분야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사람에게 ... ...
- 곤충보다 더 빠른 곤충 모방 6발 로봇동아사이언스 l2017.02.17
- 왼쪽 다리 2개로 땅을 짚을 때 오른쪽 다리 1개도 같이 땅을 짚고, 한 걸음 나아가서는 오른쪽 다리 2개, 왼쪽 다리 1개로 땅을 짚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파리의 걸음걸이를 컴퓨터 모델로 만들고 조건을 달리하면서 시뮬레이션 해 어떤 방식의 걸음걸이가 빠른지 분석했다. 그 결과, 2개의 다리로 ... ...
- 美-멕시코 콘크리트 장벽 쌓으면 환경파괴 얼마?동아사이언스 l2017.02.17
- 나오는 양과 맞먹는다. 미국과 멕시코 사이에 놓인 장벽. 왼쪽은 미국 애리조나 주, 오른쪽은 멕시코 소노라 주. - 위키피디아 제공 어쩔 수 없이 벽을 쌓아야만 한다면 친환경으로 건축할 방법은 없을까. 캐나다 몬트리올의 청정기술 회사 ‘카비크리트’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 ...
- ‘크리스퍼’ 특허 전쟁, 하버드대-MIT가 먼저 1승동아사이언스 l2017.02.17
- 소송에서 승리한 펑 장 MIT 교수(왼쪽)와 상대쪽이었던 제니퍼 다우드나 UC 버클리 교수(오른쪽) - MIT,위키미디어 제공 획기적 질병 치료 기술이며 향후 수조 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크리스퍼) 특허 전쟁에서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먼저 1승을 거뒀다. ... ...
-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동아사이언스 l2017.02.15
- RG코리아에서 생물정보학을 담당하는 박지혜 연구원(왼쪽)과 최성민 공동대표(오른쪽) - 신수빈 기자 제공 ● “과학으로 난치병 어린이들을 도울 거예요~!” 소식을 듣고 ‘RG코리아’가 수현이를 돕기 위해 나섰어요. RG코리아는 의사, 생물정보학자, 의료정책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 ...
- [이공계가 또…] 한 번 외출로 운명의 상대를 만날 확률은?2017.02.12
- 절절한 아인슈타인의 사랑 고백. - EBS MATH 화면 캡쳐 제공 이 알 수 없는 수식은 위 오른쪽 그림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도형과 점, 꺾임 기호의 개수를 나타낸 것이었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사랑이란 마지못해 떠나며 못내 아쉬어 뒤돌아 보는 마음과 보내는 안타까움이다’라는 ... ...
- 알츠하이머병 쉽게 진단할 뇌 영상 기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8
- 서울대 교수팀이 영상화한 뇌 속 정량적인 철분의 분포(왼쪽)와 지질의 분포(오른쪽). 밝게 보이는 부분이 각각 철분과 지질에 해당한다. - 서울대 공대 제공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진단 지표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뇌 영상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이종호 서울대 ... ...
- 재래종 ‘차조기’ 개량해 관절염 치료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2.07
- 사실이 밝혀졌다. 재래종 차조기(왼쪽)와 방사선육종 신품종 '안티스페릴' (오른쪽).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진창현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방사선육종연구실 선임연구원 팀은 차조기의 염증 개선 효과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임상실험을 통해 그 효능을 입증하는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K17 유전자의 발현량(왼쪽에서 세 번째 사진에서 빨간색)과 LHX2 유전자의 발현량(맨 오른쪽 사진에서 빨간색)이 많다. - 사이언스 제공 ● 생쥐는 공간, 사람은 시공간 조절 이 지점에서 예리한 지성을 지닌 독자는 이런 의문이 들 것이다. ‘사람의 피부에는 털과 땀샘이 뒤섞여 분포하는 것 아닌가?’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