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K17 유전자의 발현량(왼쪽에서 세 번째 사진에서 빨간색)과 LHX2 유전자의 발현량(맨 오른쪽 사진에서 빨간색)이 많다. - 사이언스 제공 ● 생쥐는 공간, 사람은 시공간 조절 이 지점에서 예리한 지성을 지닌 독자는 이런 의문이 들 것이다. ‘사람의 피부에는 털과 땀샘이 뒤섞여 분포하는 것 아닌가?’ ... ...
- 암세포만 밝고 선명하게 보여 주는 ‘나노 램프’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7
- 머티리얼스’ 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의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오른쪽)와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진이 개발한 ‘나노 MRI 램프’(왼쪽)를 비교한 모식도. 나노 MRI 램프는 병든 세포만 주변 대비 최대 10배 밝게 보이도록 해 준다. 기존의 MRI 조영제가 밝은 대낮에 램프를 켜는 ... ...
- 완벽에 가까운 다이빙 기술 개발, "할 수 있는 선수 찾습니다!"수학동아 l2017.02.04
- 몸통과 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방정식을 만든 뒤,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왼쪽과 오른쪽 손을 각각 위·아래로 뻗은 뒤, 다시 순서를 바꿔 아래·위로 뻗으면 몸의 회전율이 커졌습니다. 1.8초 안에 공중제비를 한 바퀴 반 돌 수 있고, 몸 비틀기 동작은 5번 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이 동작이 ... ...
- [포토저널리즘] 극적인 빈부 격차 사진들 팝뉴스 l2017.02.02
- 공간일 것이다. 오른쪽에는 작은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왼쪽은 초록색 땅이고 오른쪽은 황토색 땅이다. 한쪽은 풍요롭고 한쪽은 팍팍하다. 두 번째 사진은 멕시코시티에서 촬영했다. 세 번째는 나이로비다. 한쪽은 세련된 현대식 집들이 있는데 다른 쪽에는 낡고 허름한 거주 시설이 빽빽하다. ... ...
- [카드뉴스] 귀신의 재구성동아사이언스 l2017.02.02
- 움직인 것은 아니라 안구의 불규칙한 운동 때문에 생긴 현상이죠. “왼쪽 원만 돌고 오른쪽 원은 멈춘 것 같지 않나요?”라고 물으면 상대방은 처음에는 모든 원이 다른 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였다고 하더라도 왼쪽 원만 돈다고 말할 겁니다. 안구의 자동운동은 실제 물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기 ... ...
- 하늘 고양이와 우주 가재가 만나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1
- 인상적인 위 우주 사진은 유럽우주국(ESO)에서 1일 공개한 고양이발바닥 성운(NGC 6334, 오른쪽 위)과 가재 성운(NGC 6357, 왼쪽 아래)의 새로운 사진이다. 고양이 성운은 우리나라에는 곰 발톱 성운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고양이발바닥 성운과 가재 성운은 전갈자리의 꼬리 부근에서 관찰할 수 있는 ... ...
- 두개골 열지 않고도 뇌 치료 효과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1
- 방식(왼쪽)은 전기 자극이 뇌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퍼져 약해지지만, 준칩습적 방식(오른쪽)은 뇌까지 바로 자극을 전달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GIST 제공 연구진은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해 뇌의 특징을 복원, 3차원 뇌 컴퓨터 모델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해 비침습성 치료와 준침습성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2017.02.01
- 이 입자가 후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했다. 세포내 자철석 나노입자(오른쪽 위는 확대이미지)의 전자현미경 사진.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 도로변에는 미세먼지 상존 한편 ‘랜싯’ 1월 4일자 온라인판에 공개된 논문에는 국소적인 대기오염과 치매의 관련성을 밝힌 대규모 역학조사 ... ...
-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⑥] 트럼프와 美 과학기술비서관동아사이언스 l2017.01.31
- 테러리스트인 존 카진스키, 일명 유나바머의 우편물 폭탄 테러에 당해 오른손과 오른쪽 눈에 장애를 갖고 있습니다. 미 프린스턴대 물리학자인 윌리엄 해퍼 교수. 그는 미 의회에서 기후변화를 공식적으로 부정한 바 있다. - 유튜브 캡처 올해 78세인 해퍼 교수의 경우 저명한 원자물리학자로 ... ...
- 국내 연구팀, 간경화 치료하는 줄기세포 단백질 발견포커스뉴스 l2017.01.31
- (sham, 맨 왼쪽)에 비교해, MFG-E8을 주사했을 경우 (맨 오른쪽) 분비단백질을 모두 모아 주사 했을 때와(scrtm, 왼쪽에서 두 번째) 동일한 섬유화 치료 효과를 보이며, 분비단백질들에서 MFG-E8의 활성을 제거 할 경우(scrtm+MFG-E8 Ab, 왼쪽에서 세 번째) 섬유화 치료효과가 소실됨을 증명함. - 보건산업진흥원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