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7화 이상한 수학 세계의 비밀, 조금씩 밝혀지다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나 말야? 다짜고짜 자기소개 하라니 당황스럽네. 그럼 너부터 말해 봐. 너 정체가 뭐냐?”폴b가 머리를 긁적이며 폴에게 되물었다. 폴도 막상 ... 러일로를 만나 이 주머니를 보여 주면 내가 보낸 걸 알 거야. 그리고 토포로지로 가는
길
에 눈에 보이는 것만 믿지 말게. 이제 어서 가게나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시시각각 변화하는 뇌의 활동 동영상을 1밀리초(1000분의 1초) 단위로 관찰할 수 있는
길
이 열렸다.하지만, 사람의 두개골은 전류를 잘 흘리지 못하기 때문에 뇌파로부터 세밀한 뇌 활동 영상을 얻는데 한계가 있었다. 1950년대 과학자들은 사람의 뇌에 전류가 흐른다면 당연히 자기장도 발생하고 있을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되는 기술을 개발해 사회를 더 낫게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신 교수가 공학자의
길
을 가게 된 이유도 이것이다. 처음엔 과학이 좋아서 공학을 선택했다. 대학에서 인생을 고민하면서 ‘사회에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해졌다. 78학번인 신 교수는 “사실 대학 시절에 운동권이었다”고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학생은 공부할 때 스트레스를 어떻게 푸냐’는 간단한 질문에도 당황해 흐름이 끊
길
수 있다”며 “실제 면접에서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는 준비가 필수”라고 말했다 ... ...
수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분수 디자이너 류경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한여름 땡볕 더위를 잊기 위해 사람들은 보기만 해도 시원한 분수를 찾는다. 최근에는 단순히 물을 뿜어내는 것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선율이 있는 분수 음악회나 빛을 이용 ... 눈과 귀를 사로잡는 하나의 공연 예술임에 틀림없다. 앞으로 분수가 더욱 화려하게 거듭나
길
기대해 본다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있단 얘기죠.*그린-타오 정리 소수로 이루어진 등차수열을 찾아 그 수열이 얼마나
길
게 이어질지 설명하는 이론.황금알상 수학으로 경제력을 입증한 수학자수학은 이상한 천재들이나 하는, 실용적이지 못한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특히 요즘 청소년들은 어떤 직업이 얼마의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해 우리가 우주상수의 존재 자체를 아직 몰랐을 수도 있고, 더 컸다면 인플레이션이 더
길
어져서 아직 별과 은하가 만들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중력의 법칙이 달랐다면?중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만일 중력이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면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어떤 환경에서 영점을 잡았는지가 중요하다. 영점을 잡았던 환경과 약 10℃의 차이가 생
길
때마다 약 1분(상단 크리크 한 눈금) 정도의 오차가 발생한다.다른 변수는 공기 중에 퍼져있는 물, 즉 습도다. 공기 중의 수분은 탄환의 회전을 더디게 해 탄환의 진행을 방해한다. 처음 영점을 잡았던 ... ...
손 대면 톡 하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양치기는 잠든 스테파네트 아가씨를 보며 가장 아름답고 가장 밝은 별이
길
을 잃고 자기 어깨에 기대 있다고 생각합니다.뜬금없이 무슨 얘기냐고요? 계속 들어보세요. 요즘 소년은 학창 시절 읽었던 이 소설을 자주 떠올리고 있습니다. 소년이 자기 여자친구를 아름다운 스테파네트 아가씨처럼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이 해묵은 질문의 답이 언제나 알쏭달쏭한 이유는 자연의 시작과 끝을 정확히 알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 흙 속에 심겨진 씨앗이 무럭무럭 ... 라 소장은 후배들만큼은 ‘책 속에 갇힌 공부’가 아닌 ‘손으로 하는 열린 공부’를 하
길
바라고 있다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