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주할 가능성도 따져본다. 물론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우주 밖’으로 가는
길
은 아무도 들여다본 적 없었고, 현재로서는 찾아가볼 방법도 없다. 시인이 말한 것처럼 “아무것도 만나지 못하고, 단 한번도 확인할 수 없던 일”이다. 그나마 가설이나 이론을 만들 수 있게 된 것도 관측천문학이 ...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만든다. 그 위에 잎이 무성한 잔가지를 얹어 푹신한 잠자리를 만든다. 완성된 둥지는
길
이 1m에 폭 80cm 크기의 눕기 편한 타원형이다. 연구팀은 “어린 오랑우탄이 어른 오랑우탄이 지은 집을 한 번 보고 나면 솜씨가 달라진다”며 “집 짓는 습성이 본능이 아닌 경험과 학습에 기반한 건축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한반도’가 최근 전파를 탔다. 드라마처럼 되려면 사실 아직 갈
길
이 멀다. 그러나 최근 일본과 미국이 실제 생산을 위한 첫 행보를 시작해 주목을 받고 있다.일본, 심해저에서 첫 시험생산 시작하다지난 2월 14일, 일본 아이치현 남쪽 70km 지점에서 세계 최초로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식도 함께 풀었다고 덧붙였다. 대중을 위한 과학서적은 수식을 쓰지 않기 위해 대신
길
고 장황한 설명으로 지면을 할애하는데, 일단 수식을 풀고 나면 수학의 명료함 덕분에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는 것. 그런데 해당 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도 외우기 싫어하고 풀기 싫어하는 것들을 ... ...
기관총 명사수 '막쏘니 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다. 미로를 통과하면서 하나도 빠짐없이 찾아오도록 하자. 물론 수류탄이 있는
길
을 지나서는 안 된다. 막쏘니 퀸의 선물“네~, 이번 대회 우승자는 바로…. 막쏘니 퀸~!”역시 강력한 우승 후보 막쏘니 퀸이 금메달을 따냈다. 감격의 눈물을 흘리는 막쏘니 퀸은 썰렁홈즈를 위해서 선물을 하나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60명의 승조원이 최대 6개월을 잠항해야 한다.최근 공개된 핵잠수함 USS 미시간호는
길
이 170m, 폭 12.8m로 4층의 구조로 설계됐다. 대략 면적을 8000m2라고 본다면 2400평에 해당된다. 축구장 1개의 크기다. 160명의 승조원을 40가구(1가족 4인 기준)로 가정하면 100가구는 이보다 2.5배 큰 공간이 필요하다. 약 6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비해 2배나 빨리 미로의 출구를 찾았다. 또 유산균을 먹인 쥐와 마찬가지로 넓고 트인
길
을 선호하는 등 불안 증세도 덜했다.매튜 교수는 “이 균은 산이나 밭 등 흙에 살면서 사람의 귀와 입으로 들어간다”며 “학생들의 야외활동이 정서를 안정시키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리고 이론 자체의 수학적 엄밀성에 따른 검증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물론 아직 갈
길
은 멀다. 예를 들어 중력파 검증은 우주 탄생 초창기의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도록 검출기의 저주파수 감도를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아예 우주로 검출기를 올리는 방안과 지질학적 진동을 줄이는 ... ...
화마 잡는 골목대장, 골목소방차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불과하다. 뒷좌석 공간이 부족해 물은 약 300리터 밖에 없지만 주변에 있는 소화전에 50m
길
이의 호스를 6개나 연결할 수 있어 반경 300m내에서 발생한 화재 진압도 가능하다.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골목소방차 두 대를 골목이 많은 동작구와 경복궁 등 목재로 된 문화재가 많은 종로구에 시범 배치했다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직접 보며 장애물을 피하고
길
을 기억하는 ‘카메라 센서’와 위치를 좌표로 바꿔
길
을 인지하는 ‘자이로 센서’다. 자이로 센서가 장착되면서 카메라 센서가 작동하지 못하는 가구 밑의 어두운 구역도 청소가 가능해졌다.최근 개발된 로봇청소기는 방과 방 사이의 경계도 허물어 버렸다. 이전에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