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공장이 동원돼 완성한 새턴V는 14번의 실전 발사에 모두 성공했다. 이 로켓은 달을 향한
인류
의 꿈을 완성시켜 준 20세기 공학기술의 집결체로 평가받고 있다. 머큐리→아폴로→오리온으로 진화우주선과 착륙선의 개발 방향은 달 비행 방법이 달궤도 랑데부 방식으로 결정되자 윤곽이 드러났다.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대상에서 멀어진 달.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 달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지고 있다. 달이
인류
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보고(寶庫)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의 우주강국 미국은 물론 최근엔 아시아 국가들이 달 탐사에 도전장을 던지는 이유다. 꿈의 에너지원 ‘헬륨3’ 확보 경쟁 달에서 ... ...
별똥에서 소리가 났다는 기록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낮에는 해시계로 쓰고 밤에는 혜성이나 행성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지요.”
인류
가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년이 되는 올해, 현대 천문학에는 후발주자인 우리나라지만 풍부한 천문학 유산을 갖고 있다는 자부심이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Music from Outer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과제를 제시한 점이 돋보인다. 인간의 이타주의를 다윈의 자연선택과 연관시키지 않고
인류
미래에 필요한 덕목으로서 주장을 펼친 것이 독창적이다. 다만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와 적절한 예시로서 증명하는 것이 빠져 아쉽다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계곡과 칼날처럼 솟아오른 거친 산맥을 넘으며 말이다. 또다시 찾아오는 빙하시대에도
인류
는 당당히 추위에 맞서 싸우며 문명을 이어나갈 것이다. 온실효과와 빙하시대 : 온실효과로 남극의 빙하가 녹고 있다는데, 왜 빙하기를 걱정하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몇 가지 오해에서 ... ...
[입학사정관제] 2010 입학사정관 전형 특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갖춰야 할 교양과 국가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을 기르고, 민족과
인류
공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열린 세계관을 지닌 인재.전형특징중앙대는 입학사정관 전형인 ‘다빈치형인재 전형’(120명)과 ‘지역인재 전형’(33명)에서 총 153명을 선발한다. 두 전형 모두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 ...
광합성에서 찾은 희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수가 60억을 넘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원과 공간이 한정된 지구에서 모든
인류
에게 조달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식량을 생산하기란 불가능해졌다. 과학자들은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에너지 생산효율이 높은 식물의 광합성을 주목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광합성에 대해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백신을 개발해 지역사회에서 전염병의 유행을 막는 데 성공한다. 결국 신종 전염병에서
인류
를 구한 것은 폭탄이 아니라 역학조사와 이에 근거한 지역사회 격리조치와 빠른 백신 개발이었다. 이 영화에서 샘 다니엘스의 직업이 바로 전염병 확산을 막는 역학자(epidemiologist)다.‘질병 잡는 탐정’, ... ...
[신경과학] 지방을 섭취한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풍부한 먹이를 먹었는지 기억하게 한다”며 “열량이 높은 음식에 대한 정보는 원시
인류
의 생존과 진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실제로 지방 섭취는 필수 기관 보호와 비타민 흡수에 필수적이지만 당시에는 지방이 풍부한 먹이가 귀했다. 그러나 그는 “오늘날에는 OEA의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플라이어 1호’로 세운 기록은 소박했다. 12초 동안 36m 비행. 하지만 이 사건은
인류
역사에서 길이 기억된다. 날개 없는 생물인 인간이 새처럼 하늘을 가를 수 있게 한 시발점이었기 때문이다.라이트 형제의 세계 최초 비행 이후 비행기 발달을 가속시킨 건 양차 세계대전이었다. 당시 비행기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