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과학적 가능성과 인간 정체성에 대한 질문 공세 역시 만만치 않다.2018년 지구에는
인류
를 말살하려는 기계 군단에 맞서 인간 저항군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위~잉! 비행접시 같은 무인정찰기(에어로스태츠)가 주인공에게 다가오더니 얼굴을 스캔하고 그의 정체를 파악해 위치 정보를 인공지능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플라이어 1호’로 세운 기록은 소박했다. 12초 동안 36m 비행. 하지만 이 사건은
인류
역사에서 길이 기억된다. 날개 없는 생물인 인간이 새처럼 하늘을 가를 수 있게 한 시발점이었기 때문이다.라이트 형제의 세계 최초 비행 이후 비행기 발달을 가속시킨 건 양차 세계대전이었다. 당시 비행기 ... ...
광합성에서 찾은 희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수가 60억을 넘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원과 공간이 한정된 지구에서 모든
인류
에게 조달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식량을 생산하기란 불가능해졌다. 과학자들은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에너지 생산효율이 높은 식물의 광합성을 주목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광합성에 대해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백신을 개발해 지역사회에서 전염병의 유행을 막는 데 성공한다. 결국 신종 전염병에서
인류
를 구한 것은 폭탄이 아니라 역학조사와 이에 근거한 지역사회 격리조치와 빠른 백신 개발이었다. 이 영화에서 샘 다니엘스의 직업이 바로 전염병 확산을 막는 역학자(epidemiologist)다.‘질병 잡는 탐정’, ... ...
[에너지]상온핵융합, 부활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지난 1989년 미국의 두 과학자가 발견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이게 사실이라면
인류
의 에너지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뒤 실험 재현에 실패해 사기꾼 취급을 받았고 상온핵융합 연구도 시들해졌다. 모지어-보스 박사는 염화팔라듐 중수(D2O) 용액에 니켈과 금으로 된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연구팀도 아시아에서 발견된 화석을 연구한 적이 있는데 반갑네요. 바로 멸종한 난쟁이
인류
인‘호모 플로레시엔시스’였죠. 아쉽게도 기후가 덥고 습해서 화석에서 DNA를 추출할 수 없었지만요. 보고파일 무슨 소리? 노벨상 수상자가 있는데!연례총회에서는 노벨상 수상자를‘지나가다가’만날 ... ...
21세기 지구촌 리더 키우는 탑스라운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주제는 에너지다. 지난 3월 19일에는 서울대 환경대학원 윤순진 교수가 ‘석유고갈,
인류
의 재앙인가’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석유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상황에서 유전을 계속 개발하기보다는 사회구조와 패러다임을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일이 시급하다는 이야기가 오갔다.세부 ... ...
인간의 진화!
인류
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오레오피테쿠스→드리오피테쿠스→파란트로푸스→네안데르탈인→크로마뇽인(현생
인류
)이다. 산의 원숭이라고 불리던 오레오피테쿠스는 생명의 나무에서 약 5백만 년 전 유인원과 갈라졌다. 유인원은 오랑우탄, 침팬지, 고릴라 같이 영장류 중에도 꼬리가 없는 종으로 약 6000만 년 전 다른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미시세계에 대한 공포를 생물학적 재앙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소설은 하루아침에 모든
인류
가 흡혈귀로 변한 세상을 설정해 신선한 피를 갈망하고, 햇빛을 싫어하며, 상처를 입어도 금세 아물어버리는 흡혈귀들의 생물학적 특징을 다양한 생화학 이론으로 설명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흡혈귀는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찾는 연구는 국제천문학계의 가장 중요한 연구주제 중 하나가 됐다. 외계행성 발견은
인류
의 오래되고 원초적인 질문인 ‘이 우주에 지구에만 생명체가 살고 있는가’라는 외계생명체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와 물리적 특징이 비슷한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