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항공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인공위성 발사와 항공기 개발에서 우주정거장 건설까지 우주항공구조공학은 우리나라와
인류
의 미래를 책임질 학문이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 최근 제작된 대형항공기인 에어버스 A-380 모델의 경우 수백만 개가 넘는 부품으로 이뤄져 있다. 우주항공구조공학은 복잡한 구조물이 운항 중 받는 ... ...
섬진강 선생님의 자연 사랑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생명을 지닌 주위의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세요. 그리고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 그것이
인류
와 자연 모두를 위한 진정한 과학이 될 거예요.”오랜 기간 어린이들과 함께 했던 전북 임실의 초등학교 두 곳에‘어린이과학동아’를 보내기로 한 선생님. 선생님의‘자연 사랑’이 오래오래 계속됐으면 ... ...
소금 법정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소금이 법정에 서다!’2008년 10월 15일, 한 사건으로 온 세상이 떠들썩해졌다. 그 동안 나라 곳곳에서 소금을 줄이는 ‘싱겁게 먹기’운동과 캠페인이 진행되어 왔고, 이에 따라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소금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움직임을 눈여겨보던 한 새내기 검사가 소금과 ... ...
나사 50주년기념, 최고의 명장면 50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969년 7월 20일 달에 찍힌 버즈 올드린의 발자국. 닐 암스트롱과 함께 아폴로 11호를 타고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해 남긴 흔적으로, 우주개발 역사에 큰획을 그은 일로 기록됐다. 최초의 우주왕복선(STS-1)나사는 1981년 4월 12일 존 영, 로버트 크리펜이 탄 최초의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호 발사에 성공했다.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전염병을 예방하는 백신이 개발되고, 20세기에 세균을 죽이는 항생제가 발견되면서
인류
는 질병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게다가 위생 수준이 높아져 전염병이 사람을 괴롭히는 일은 차차 사라질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전염병은 쉽게 물러나지 않았다. 2007년 7월 세계보건기구(WHO)는 ... ...
우주복 패션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969년 7월 20일은 닐 암스트롱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표면에 발을 디딘 날이야. 40년이 흐른 지금 사람들은 다시 한 번 달 여행을, 그리고 화성을 비롯해 우주 저 너머를 탐험하는 여행을 계획을 하고 있지. 그 계획을 현실로 이루는 데 꼭 있어야 할 게 바로 우주복! 커가는 우주여행의 꿈과 함께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때문에 작은 크기라도 어마어마한 피해를 일으킨다. 소행성 지름이 1km 가량이라면
인류
문명을 파괴하기에 충분하다. 지름이 30m 정도인 소행성이 바다에 떨어진다면 2004년 수십만 명의 인명피해를 낸 인도네시아의 쓰나미(지진해일)보다 수백 배 더 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소행성의 충돌을 막을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를 통해 볼 때 특허로 과학기술을 원천적으로 봉쇄시키는 방식은 옳지 못한 선택이다.
인류
를 위해 여러 과학기술은 널리 퍼져야 한다. 특허는 각 회사의 기술 개발을 막고 특허를 받은 회사는 기술을 개발시키려는 노력을 이전보다 덜하게 된다. 서로 간의 경쟁을 통해 좋은 기술과 저렴한 상품이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쓰인 에너지와 맞먹는다. 이산화탄소만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최근
인류
의 산업과 경작활동 때문에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미량기체가 증가하고 있다. 1) 제시문 (나)와 관련해 질소(N2)나 산소(O2)와 구별되는 이산화탄소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라. 2) 탄소 순환 고리의 깨짐과 ... ...
[
인류
학]호모 에렉투스 엉덩이 펑퍼짐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큰 값이다. 결국 태어날 때 뇌의 크기는 비슷했지만 자라면서 뇌가 팽창하는 정도가 현생
인류
보다 덜했다는 뜻이다.세모우 박사는 “지금까지 호모 에렉투스가 직립한 이유는 더운 기온에 적응하기 위해 햇빛을 최소한으로 받거나 사냥하기 위해 오랜 시간 달리고자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며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