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를 이용해
전기
를 생산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간헐천은 현재 600MW 이상의
전기
를 생산한다.하지만 갑작스러운 화산폭발은 인류에게 재난이다. 지난 500년 동안 화산 분화로 약 25만 명이 죽었다. 현재 기술로 화산 분화는 막을수는 없지만 위험한 화산을 식별하고 잠재적으로 재해를 피할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하기도 했다.뉴턴이나 아인슈타인을 아는 사람은 많아도 맥스웰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전기
없이 우리가 단 하루도 살기 힘들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맥스웰에 대한 이런 대우는 부당한 셈이다. 맥스웰의 아름다운 방정식은 오늘날에도 이 우주를 완벽하게 기술하고 있다 ... ...
에너지 해결책 찾아 지구 한바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수력발전 역시 마찬가지다.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댐을 막아야 하는가, 아니면
전기
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을 없애기 위해 자연을 희생해서라도 댐을 세워야 하는가. 이렇게 가치판단이 어려운 알쏭달쏭한 사례가 끝도 없이 이어지고, 두 사람은 야차무리를 헤치는 나한처럼 의문을 뚫고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그 빛이 바로 ‘편광’이다. 태양에서 오는 자연광도 물론 편광이 아니다. 모든 방향의
전기
장이 거의 균일하게 포함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빛(unpolarized light)이다. 편광만 통과시키는 필터 역할을 하는 편광필름 두 개를 겹쳐두고 하나를 회전시켜보면, 비편광의 경우에는 편광필름을 통과한 ...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가 암페어(A)예요. 이 기계는 오른쪽에 있는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
전기
가 생겨 왼쪽 화면에 동영상을 볼 수 있답니다. 우리가 쓰는 단위의 종류가 이렇게 많은지 몰랐어. 이런 국제 표준으로 정해진 단위들이 없었다면 아마 복잡한 문제들이 일어나서 혼란이 생겼겠지?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플로리다대학교 동물학과 토드 팔머 교수팀이 이런 실험을 해 보았어. 아카시아 주변에
전기
울타리를 쳐서 잎을 먹는 동물들이 가까이 오지 못하게 했지. 그러자 이상한 일이 생겼어. 오히려 아카시아들은 약해지고 말라 죽는 경우도 많았단다. 그 이유는 바로 아카시아가 미모사 개미에게 ... ...
“나의 영혼이 로봇 속으로 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지를 연구하게 된다.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의 팔, 다리 근육에
전기
신호 형태로 옮겨 주는 ‘근전도 방식’ 기술 등도 개발할 예정이다.유 센터장은 “축적된 마루 시리즈의 핵심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인간-기계 상생기술을 연구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마루를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연간 생산량 100만t 규모의 상용 플랜트를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같은 연구단의
전기
원 박사팀은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메탄올을 만드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메탄올은 휘발유첨가제나 바이오디젤을 만들 때 들어가는 원료로 산업계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현재는 천연가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나노결정 산화물인 TiO2(이산화티타늄)으로 이동하고, 외부회로를 따라 전자가 움직이며
전기
가 생긴다.고효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쓰이는 염료로는 유기염료와 유기금속염료가 있다. 최근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빛을 더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가격이 저렴한 유기염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주로 이용한다. 회전하는 물체의 속도를 고르게 하기 위해 회전축에 달아 놓는 바퀴다.
전기
모터로 움직여 탑재된 연료를 쓰지 않는데다 컴퓨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위성의 자세를 빠르고 정확하게 바꿀 수 있다.[➊ 2010년 7월 12일, 한국 최초의 통신·기상 위성 천리안이 한반도 상공 정지궤도에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