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프로젝트를 통해 새가 쉴만 한 물이 있는 습지를 4만 에이커(약 162km2) 이상 확보했으며, 100만 마리가 넘는 새들이 머물다 갔다. 인근의 다른 지역보다 30% 더 높은 수였다. 바다에서는 멸종위기종 고래를 보호하기 위한 로봇이 활약 중이다. 미국의 ‘고래와 돌고래 보호’ 단체에 따르면, 죽은 채로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불순물을 화학작용으로 걸러낸다. 비결은 바로 미세한 구멍. 나노미터(nm, 1nm는 100만분의 1mm) 크기의 구멍을 지닌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에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0분의 1mm) 단위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 고분자 섬유를 붙여 만들었다.나노소재팀에서는 전자현미경으로나 겨우 볼 수 있는 미세한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동일한 치료 흔적을 가질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검색 프로그램에 따르면 100쪽 치아 사진처럼 32개의 치아가 모두 나있고 그 중 어금니 4개에 치료 흔적을 가진 사람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은 약 0.02% 밖에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에 힘입어 최근 필자가 근무하는 미국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런데 타오 교수는 여러 분야에 걸쳐 뛰어난 성과를 냈다. 권 교수는 그런 수학자는 100년 전의 수학자 힐베르트 이후 타오 교수가 유일하다고 말했다.“타오 교수님은 다시 생각해보고 배우는 게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물론 공부한 책을 다시 공부하라는 것은 아니지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금까지 딱 한 번 성공했다. 1975년 중국 다롄 인근 도시 하이청에서 미소 지진이 포착돼 100만 명의 주민이 대피한 결과 규모 7.5의 강진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김 교수는 “미소 지진을 포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미소 지진 수가 갑자기 급증하는 신호를 찾아야 하는데,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수의적이면서도불수의적인 운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doi.org/10.1177/0301006616647742). 뼈와 뼈에 붙어 있는 근육, 그리고 피부 사이에 특별한 구조도 표정을 만든다. 대부분의 근육은 뼈에 붙어 표정을 만들지만, 눈 주위나 입술 주위에 있는 근육처럼 뼈에 붙어 있지 않은 근육도 있다.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구로 전송했다. 그 결과 이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달의 용암 분출 흔적을 찾아내는 등 1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됐다.중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된 위투는 무게가 140kg으로, 시속 200m의 속도로 움직이며 달의 북반구에 위치한 훙완 구역을 탐사했다. 2014년 2월 한때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종 등 분류가 다른 미생물들이 무수히 존재할 수 있다. 헤네지 교수는 이를 ‘새장에 새 100마리와 달팽이 25마리가 있는 상황’과, ‘수족관에 물고기 8마리와 오징어 2마리가 있는 상황’을 동일하게 보는 것에 비유했다. 두 경우 모두 척추동물이 연체동물보다 4배 많다. 하지만 새장과 수족관의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유유상종이다. 이런 배열(정적 배열)에서는 협력자가 협력자를 만날 가능성(그림에선 100%)이 협력자가 개체군에서 차지하는 평균 빈도(그림에선 50%)보다 더 높다.‘협력자 끼리끼리’는 협력이 진화하는 열쇠다. 위에서 보았듯이 협력의 진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무임승차자가 정당한 ... ...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고신뢰 시스템이 필요하다. “과학자가 아무리 노력해도 신뢰도 100% 시스템은 없습니다. 윤리적으로 고민해야 될 문제가 생길 수 있죠. 때문에 사이버물리시스템이 우리 삶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