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불순물을 화학작용으로 걸러낸다. 비결은 바로 미세한 구멍. 나노미터(nm, 1nm는 100만분의 1mm) 크기의 구멍을 지닌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에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0분의 1mm) 단위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 고분자 섬유를 붙여 만들었다.나노소재팀에서는 전자현미경으로나 겨우 볼 수 있는 미세한 ... ...
- [지식] 에르되시도 인정한 고난이도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0호
- 000년 밀레니엄 문제라고 해서 수학 난제 7개를 뽑아 각 문제별로 해결하는 사람에게 상금 100만 달러를 준다고 했던 걸 기억하나요? 이 상금을 건 곳이 바로 ‘클레이 수학연구소’입니다. 이곳에서 매년 훌륭한 논문을 쓴 사람에게 상을 주고 있는데, 구스와 카츠가 바로 이 연구로 상을 받은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런데 타오 교수는 여러 분야에 걸쳐 뛰어난 성과를 냈다. 권 교수는 그런 수학자는 100년 전의 수학자 힐베르트 이후 타오 교수가 유일하다고 말했다.“타오 교수님은 다시 생각해보고 배우는 게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물론 공부한 책을 다시 공부하라는 것은 아니지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 ...
- [수학동아클리닉] 한 눈에 알아보는 비율그래프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자료의 전체 크기에 대해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 구하기.② 각 항목의 백분율 합계가 100%가 되는지 확인하기.③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만큼 띠(원) 나누기.④ 나눈 띠(원) 위에 각 항목의 명칭을 쓰고 백분율의 크기 쓰기.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띠 모양으로 나타낸 띠그래프는 길이를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것이 야간 촬영 시에 주로 사용하는 적외선이었다. 홍채에 파장이 750~850nm(나노미터, 1nm=100만 분의 1mm)인 근적외선 조명을 쏜 뒤, 근적외선을 필터링하지 않는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다(일반적인 카메라에는 적외선을 걸러내는 필터가 들어있다. 가시광선만을 완벽하게 잡아내기 위해서다). 별도의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수의적이면서도불수의적인 운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doi.org/10.1177/0301006616647742). 뼈와 뼈에 붙어 있는 근육, 그리고 피부 사이에 특별한 구조도 표정을 만든다. 대부분의 근육은 뼈에 붙어 표정을 만들지만, 눈 주위나 입술 주위에 있는 근육처럼 뼈에 붙어 있지 않은 근육도 있다.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유유상종이다. 이런 배열(정적 배열)에서는 협력자가 협력자를 만날 가능성(그림에선 100%)이 협력자가 개체군에서 차지하는 평균 빈도(그림에선 50%)보다 더 높다.‘협력자 끼리끼리’는 협력이 진화하는 열쇠다. 위에서 보았듯이 협력의 진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무임승차자가 정당한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운행이 시작된 이후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계속된 적자를 메우기 위해 지자체가 매년 100억~1000억 원씩 예산을 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속도로도 마찬가지다. 2014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28개 노선에서 건설투자비로 회수한 비율은 29%에 불과했다.이런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수요예측에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구로 전송했다. 그 결과 이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달의 용암 분출 흔적을 찾아내는 등 1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됐다.중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된 위투는 무게가 140kg으로, 시속 200m의 속도로 움직이며 달의 북반구에 위치한 훙완 구역을 탐사했다. 2014년 2월 한때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바스락!소리도 맛을 지배한다음식을 먹을 때 바삭거리는 소리는 조직 내에 공기방울이 100분의 1초 안에 순식간에 방출되면서 나는 소리다. 스낵 제품에서는 소리가 매우 중요하다. 눈을 가리고 감자칩을 먹는 실험에서 감자칩의 소리를다르게 하면 같은 것을 먹으면서도 그때마다 맛을 다르게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