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현장에서 바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 우리 팀의 장점”이라며 “2020년까지 100t 규모로 확대해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연구팀이 생각하는 다음 목표는 광합성 속도다. 미세조류가 식물보다는 월등히 빠르지만 상용화에 이르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심 교수는 “더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큰 댐은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국경에 있는 이타이푸 댐이다(오른쪽 사진). 이타이푸 댐은 100m 폭의 수문이 네 개 있는데, 이 문이 모두 열리면 1초 동안 축구장 9개에 물을 1m 높이로 채울 수 있는 양인 6만2000m3의 물이 시속 140km 속도로 흘러나온다. 이 엄청난 양의 물은 이타이푸 댐 호수에 저장돼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내년에 지금보다 100배 빠른 시스템을 구축하면 더 많은 연구자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고신뢰 시스템이 필요하다. “과학자가 아무리 노력해도 신뢰도 100% 시스템은 없습니다. 윤리적으로 고민해야 될 문제가 생길 수 있죠. 때문에 사이버물리시스템이 우리 삶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반면 금성은 지금도 활발하게 폭발하고 있는 화산이 아주 많은 행성이에요. 지름이 100km이상인 화산만 167개가 발견되었고, 그보다 작은 화산은 수만 개가 존재하지요. 금성 표면의 대부분이 활발한 화산 활동에 의해 생겨났기 때문에 80% 정도가 마그마가 굳어진 암석인 현무암으로 되어 있답니다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매우 주관적이지요. 예를 들어 1만 원짜리 케이크의 한 조각을 보고 어떤 아이는 가치가 100원이라고 말하고, 다른 아이는 2000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모두가 만족하도록 케이크를 나눠 먹으려면 각자 입장에서 자기가 받은 케이크의 값어치가 다른 아이가 받은 것 이상이어야 ... ...
- [소프트웨어] π를 부탁해!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근삿값은 얼마인가요? 공을 많이 던질수록 정확한 π값을 구할 수 있어요. 그런데 공을 100개, 1000개 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에요. 또 많은 공을 일일이 헤아리는 것도 쉽지 않고요. 이처럼 실제로 실험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어려울 때 ‘몬테카를로 방법’을 써요. 무작위로 발생하는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종 등 분류가 다른 미생물들이 무수히 존재할 수 있다. 헤네지 교수는 이를 ‘새장에 새 100마리와 달팽이 25마리가 있는 상황’과, ‘수족관에 물고기 8마리와 오징어 2마리가 있는 상황’을 동일하게 보는 것에 비유했다. 두 경우 모두 척추동물이 연체동물보다 4배 많다. 하지만 새장과 수족관의 ... ...
- [과학뉴스] 러시아 산불이 한국서 초미세먼지 유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산불이 발생한 뒤, 3000km 거리에 있는 한국 대전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51~100μg/m3)’ 수준이 된 것을 확인했다.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사고지역의 기압배치를 나타내는 위성 영상과 대전에서 채집한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했다.확인 결과 산불이 난 지역의 서쪽과 ... ...
- [과학뉴스] 더우면 붙고 차가우면 떨어지는 문어 빨판 접착판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나타냈다. 이는 기존 스마트 접착 패드의 약 6배에 달하는 힘이다.이번에 개발한 패드는 100회 이상 붙였다 떼기를 반복해도 성능이 변하지 않았다. 또 패드를 물체에 접착시키기 위해 누를 필요가 없어 물체 손상을 막을 수 있다. 고 교수는 “전자소자는 물론 의료용 패치, 로봇기술 등 다양한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