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뉴스
"
자신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박쥐 몸 속에서 40~70년 전 생겨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있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BD를 이용해 인간 세포와 결합한 다음 유전물질을 주입해
자신
을 복제한다. 이 조상에게서 갈라져 나온 바이러스는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뜻이 된다. 로버트슨 교수는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는 다른 바이러스가 중국관박쥐 속에 있음을 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얻을 수 있었다. 물론 모고스 교수 역시 리우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내지 않았다면
자신
이 찾은 효소로 이런 환상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두 사람은 이번 논문의 공동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런 걸 두고 윈윈 효과라고 하는 게 아닐까. ※필자소개 ... ...
코로나19 바이러스, 미끼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스파이크 단백질에 헤파린이 달라붙어 ACE2와 결합하는 능력을 잃으면 바이러스는
자신
을 복제할 수 없게 되고 면역세포의 공격을 받아 없어지게 된다. 실험결과 헤파린 농도는 73피코몰(pM, 1조분의 1몰)이어도 스파이크 단백질에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일반적인 항원 ... ...
고슴도치가 된 개
팝뉴스
l
2020.07.27
것이다. 그러나 작은 덩치의 동물이라고 해서 모두 약한 것은 아니었다. 반려견은
자신
이 고슴도치 꼴이 되고 말았다. 고통이 적지 않았겠지만 무사히 치료를 마쳤다는 후문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원폭투하 75년 생존한 피폭자들이 남긴 의학적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7.26
캡쳐 이이다 씨를 비롯해 12만 명에 이르는 히로시마 및 나가사키 원폭의 생존자들은
자신
들의 고통을 인류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쓰이도록 허락했다. 과학·의학 연구에 참여해 방사선 피폭이 가져온 장기적인 건강 영향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국이 1946년 구성한 ‘원폭희생자위원회(ABCC)’를 ... ...
[주말N수학]끈기와 소신을 지키는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20.07.25
수학자 아르투르 아빌라가 브라질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했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자신
의 소신을 지키며 꾸준히 노력하는 스메일 교수의 성격은 광물을 모으는 그의 취미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광물 역시 땅속의 뜨거운 열과 강한 압력을 오랜 시간 견디면서 만들어집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너무 무리했으니까 살고 싶으면 좀 쉬렴"
2020.07.25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
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바이러스는 우주에서도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25
않아도 된다. 비록 물질대사나 생식 등의 현상은 일어나지 않지만, 둥둥 떠다니다가
자신
에게 맞는 숙주를 찾는다면 언제든 이를 재개할 수 있다. 실제로 대기 중에 떠다니다가 지상에 내려앉아 다시 활동하는 바이러스는 매우 많다. 2018년 커티스 셔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 ...
5가지 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법 개발
연합뉴스
l
2020.07.24
매우 높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3일 보도했다. 암세포는 주기적으로
자신
의 DNA 조각을 혈액 속으로 떨어뜨린다. 그러나 이 DNA 조각들은 너무 적다. 특히 종양의 크기가 작을 땐 거기서 떨어진 DNA 조각을 잡아내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혈액검사법은 DNA 조각이 아니라 DNA에 발생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독립적으로 새로운 행성의 위치를 계산했다. 당시 애덤스는 대학생이었다. 르베리에는
자신
의 결과를 독일 베를린 관측소의 요한 갈레(1812~1910)에게 편지로 보냈다. 갈레는 르베리에의 편지를 받은 그날 밤 관측에서 새 행성을 찾았다. 르베리에가 예측한 위치에서 1도 각도 이내였다. 해왕성 발견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