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02
만들면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는 데 쓸모가 많을 것이다.“마약탐지견 같은 서비스
분야
에서도 복제개가 한 몫 할 것입니다. 이런 개 한 마리를 훈련시키는 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개를 선별하는 게 중요하니까요.” 신체적 특징뿐 아니라 성격이나 행동도 유전적 ... ...
인쇄전자기술은 한국이 최고
과학동아
l
200902
전도도가 높고 기계적 강도도 뛰어나면서 2차원 전기적 성질을 갖고 있어 인쇄전자기술
분야
에서 가장 주목받는 반도체 재료다. 물리학과에서는 그래핀의 양자역학적 이론 연구를, 화학과에서는 그래핀의 대량 생산을 위한 용액 합성법을, 재료과에서는 그래핀의 특성을 분석하고 측정하는 연구를 ... ...
인성과 지성 갖춘 과학영재의 배움터
과학동아
l
200902
원하는 학생들은 첨단기자재를 갖춘 R&E 연구실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자신의 관심
분야
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수강하는 일도 가능하다.박지연 양은 “두뇌영상기술 fMRI를 이용한 과학자와 과학고 학생의 두뇌 활성 패턴 차이에 관해 연구했다”면서 “과학자들은 추론 과정에서 쾌감을 느낀 ... ...
[물리]운동량과 운동에너지의 차이점
과학동아
l
200902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전하에 작용하는 힘을 표현하기란 쉽지 않다. 전기와 자기
분야
에서 큰 공헌을 한 패러데이는 전기장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전기력선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그는 복잡한 수식 대신 전하가 받는 힘의 방향을 간단히 화살표로 표시했다. 전기력선은 양의 전하에서 나와서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01
부임했다. 진화적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경제학, 정치학, 진화생물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
를 포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현지취재_진화론이 살아 숨 쉬는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01
않지만 세피아는 ‘회색 기운이 있는 짙은 갈색’의 이름으로 여전히 남아있다. 사진
분야
에서도 세피아란 용어가 쓰이는데 사진이 오래돼 변색된 것 같은 효과를 의미한다. 다양한 기능을 지닌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세피아 모드’로 사진을 찍어 한껏 멋을 낼 수 있다.한편 오징어먹물은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01
‘나스트란’(NASTRAN)은 1960년대 초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개발돼 지금까지도 항공우주
분야
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이다. 아폴로 우주선을 개발할 때도 ‘나스트란’을 사용했다. 김 교수는 처음부터 ‘나스트란’에 필적할 만한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만들 작정으로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01
듣고 헤켈 씨가 진화발생생물학의 장을 연 인물이 아닐까 생각했다오.원래는 이 두
분야
가 떨어져 있었소. 발생생물학은 생물의 발생이 유전적으로 프로그램화돼있고 되풀이되는 반면 진화생물학은 생물의 진화가 프로그램화돼 있지 않고 우연적이라고 봤다오. 사실 ‘종의 기원’이 유명세를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01
같은 전자·IT 제품과 함께 자동차, 조선을 꼽을 수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철강
분야
도 빼놓을 수 없다. 도대체 이런 생산물들은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질까.단일 제철소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는 광양제철소 야적장에는 세계 곳곳에서 들여온 철광석과 코크스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그러나 하늘을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01
5위는 지난 11월에 발표된 2008 노벨 과학상 수상자 가운데 일본이 물리학과 화학
분야
에서 4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는 소식이 차지했다.그 뒤를 이어 2008년 6월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에 성공해 핵융합 에너지 개발의 발판을 마련한 한국형 인공태양 ‘KSTAR’와, 새 정부의 조직개편안에 따라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