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 올해의 과학책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번역됐다. 유명한 고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의 ‘여덟 마리 새끼 돼지’(현암사)는
주로
옛 생물을 통해 진화를 고찰한다. 같은 작가의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아카넷)은 지질학에서 시간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밝힌다. 창조과학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을 보려면 ‘이것은 ... ...
영상 신호 스스로 분리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어지럼증을 유발하거나 입체 영상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그래서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
주로
한 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는 소형 디스플레이에 적용됐다. 시점을 추적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거나 무안경 3D TV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졌다. 시점을 옮기면 입체 영상이 ... ...
교통사고 사망자 ‘0’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설명했다. 정면추돌은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지 못해 발생하며 측면 추돌은
주로
차선을 바꿀 때 일어난다. 교차로에서는 신호를 위반하거나 운전자가 미숙할 때 사고가 발생한다.정면추돌, 측면추돌, 교차로 사고와 같은 유형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기초 기술은 이미 대부분 개발돼 있다.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라이페이스, 아밀레이스와 같은 소화효소들이다. 포유동물은 십이지장에서 철 흡수가
주로
이뤄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자에서 분비된 중탄산염이 위를 거치면서 강한 산성을 띤 음식물을 중화시킨다. 십이지장에서는 음식물이 주는 물리적 자극도 중요하지만 호르몬의 작용도 매우 중요하다. ... ...
환경도 지키고 맛도 그만! 들풀의 재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사용할 수 있는 에탄올을 추출하는 거야. 지금은 바이오에탄올을 얻기 위해 옥수수를
주로
쓰지만 옥수수보다 더 좋은 식물이 있다는 사실! 바로 ‘억새’란다. 억새는 환경에 잘 적응하고 번식력도 좋아 쉽게 얻을 수 있는 식물이야. 게다가 억새에서는 옥수수보다 더 많은 에탄올을 얻을 수 있단다. ... ...
쿵쾅쿵쾅! 건강한 심장 지킴이 임도선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교수님이 펴내시는 의학 만화 2탄을 기대해도 될까요?‘가슴이 아파요’에서는
주로
심장병에 걸리는 원인에 대해 다뤘어요. 그래서 만약 두 번째 만화를 만든다면 실생활에서 심장병을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다룰 거예요. 또 만화뿐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싶어요. ... ...
손으로 말해요! 수화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수화 단어에 없는 고유 명사나 신조어 등은 지문자로 표현하고, 대부분 수화 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앞으로 청각장애인 친구를 만나면 한글 지문자로 서로의 이름을 알려 주며 대화의 물꼬를 터 보자. 31개 지문자를 어떻게 다 외우냐고? 한글과 전혀 다른 영어 알파벳도 금세 외운 여러분이 아닌가! ... ...
생명수학을 만나다!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죽음을 맞이하는 개체 수 등 매우 다양하다. 이렇듯 복잡한 현상을 나타낸 방정식은
주로
컴퓨터를 이용해 해를 구하고, 그 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해석한다.심장 방정식으로 심장 질환 연구교수님 연구실에는 다른 수학과 교수님들의 연구실에서는 찾을 수 없는 특별한 소품이 있었다. 바로 교수님이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또 전체 매장량이 얼마나 되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단지 석유가
주로
발견되는 지층이 중생대 쥐라기와 백악기 층인 것으로 미루어 중생대에 살았던 생물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추정할 뿐이다. 그러니 석유가 지하에 얼마나 묻혀 있는지는 더욱 알기 어렵다. 게다가 ... ...
사회기반시설물 파괴와 산사태, 환경토목공학의 과제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판단하고, 흙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등의 섬세한 연구작업에 들어간다. (…중략…)
주로
비가 많이 오거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은 빨간 선으로 표시된다. 이 정보는 산림청 등을 통해 산사태 위험지역의 인근 주택가의 사람들에게 대피하라는 실시간 통보를 내릴 수 있다. (…중략…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