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뉴스
"
암
"(으)로 총 3,3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발기부전 치료제 '타다라필' 심장 잘 뛰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발생하는 병이다. 진단 후 1년 내 사망률은 20%, 5년 내 사망률은 50%에 그칠 정도로 일반
암
보다도 생존율이 낮다. 타다라필은 비아그라의 대표 성분인 ‘실데나필’ 물질과 함께 발기부전 치료용으로 쓰이는 약물이다. ‘시알리스’가 대표적인데 2016년 특허가 만료되면서 다양한 복제의약품이 ... ...
국내 연구팀,
암
세포 자살 유도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막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 연구결과를 활용해
암
재발 없는 항
암
제 개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세포가 분열 또는 사멸하는 '알포인트' 과정. 한국연구재단 제공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04.29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5일자에 발표했다. 그간 펠리노1은 체내 면역 기작과
암
유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정확한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의 세포에 방사선을 쪼여 DNA 손상을 유발하면 이 부위에 펠리노1이 집중적으로 모이는 현상을 발견했다. 손상 ... ...
권면 "중이온가속기 ‘라온’ 2021년까지 차질없이 구축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존재하지 않는 원소를 찾아내 우주 탄생의 근원을 연구한다. 희귀동위원소를 발굴해
암
치료 등 의료 분야에도 활용할 수도 있다. 중이온가속기는 전자를 가속시킬 때 회전운동으로 나오는 빛인 ‘방사광’을 이용하는 방사광가속기, 양성자를 큰 에너지로 가속시켜 표적 물질에 충돌시킨 뒤 2차 ... ...
기적의 항
암
제 '글리벡' 내성 원인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국내 연구진이 항
암
제 글리벡에 대한 내성을 띠게 하는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왼쪽부터 연구에 참여한 김동욱 가톨릭혈액병 ... 성분에 대한 내성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도 결국
암
세포가 약 성분을 없애면서 생존하는 셈이다. 서울성모병원 제공 ... ...
“마이크로RNA 치료제 실현하려면 기초연구 기술개발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조절하기 때문이다. 김 단장팀 역시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유전자(let-7)의 miRNA를 이용해
암
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DNA의 사본격인 RNA는 단백질 합성이 끝나면 사라진다. DNA보다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지만, 그만큼 치료제로 쓰기에는 안전한 셈이다. 대개 RNA의 크기가 수천 ... ...
“서울대병원도 도입한 클라우드, 생명과학 혁신 선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연구 혁신이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의 아이앱스 도입은
암
분야 정밀의료에서 혁신적인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얘기다. 콰 총괄은 “DNA와 RNA를 포함한 방대한 개인 유전체(게놈) 데이터를 실제 치료에 적용하려면 방대한 데이터를 다양한 연구 프로세스로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KIST 연구진이 엑소좀을 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하면, 로버츠 교수 연구진이 어떤 방식으로
암
을 치료할지 방법을 찾는 식이다. 현지랩을 바탕으로 하버드대와 KIST 연구자간 교류할 수 있는 기회도 크게 늘었다. 올 6월에는 KIST에서, 9월에는 하버드대에서 워크숍을 열고 미국 과학자와 KIST 등 국내 ... ...
KAIST 빛낸 연구성과에 신개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스핀 기반 로직 소자(박병국 교수·신소재공학과) △탄소 나노튜브 기반의 근접
암
치료 장비(조성오 교수·원자력및양자공학과)가 선정됐다. 연구 부문 우수 교원 중 최고 연구상인 ‘연구대상’은 조병진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에게 돌아갔다. 조 교수는 차세대 나노 전자소자 및 플렉서블 ... ...
면역질환 유발 단백질 알고보니 DNA 복구도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집중적으로 모인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류머티스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암
을 유발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펠리노1 단백질이 오히려 손상된 DNA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결과 DNA가 손상되면 펠리노1 단백질이 손상 부근으로 이동하고 DNA를 복구하는 ‘ATM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