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뉴스
"
채
"(으)로 총 3,826건 검색되었습니다.
[때와 곳 18] 국수집: 입맛이 자리 잡는 곳
2017.08.19
따끈한 멸치국물을 부은 다음, 가늘게
채
썰어 볶은 호박과 당근, 유부 서너 개와 계란
채
두세 줄, 마지막으로 어긋어긋 썬 대파 한 숟가락과 마른 김 부스러기를 조금 집어 얹으면 완성되는 잔치국수가 그것이다. 수십 인분을 준비해야 하는 국수로는 잔치국수야말로 가장 손쉽게 만들 수 있는 ... ...
[카드뉴스] 과학자들이 개기일식을 기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19
특별한 이유는..” 달의 본그림자가 지구를 가로지르는 면적은 지구 표면적의 1%가
채
안되기 때문에 한 지역에서만 사는 사람은 평생동안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분일식이나 금환일식에 비해 현저하게 어두워지기 때문입니다. (평상시 밝기의 1/1000 정도) 개기일식 때의 관측은 많은 ... ...
과학발명품대회 대통령상 수상한 '자석의 힘을 이용한 구슬게임'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하나를 굴려서 붙이면 그 충격으로 반대편 쇠구슬이 튀어 나간다. 안 군은 이 원리를 구슬
채
에 적용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 선생님을 찾아갔다. 그는 “선생님이 인터넷 동영상을 찾아 보여주며 원리를 설명해 주고 ‘좋은 아이디어’라고 칭찬해 줘서 자신감을 얻었다”고 했다. 안 군을 지도한 ... ...
고등학생이 발명한 '쓰러져도 물 흐르지 않는 페트병 마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색이라도 있으면 피해는 더 커진다. 이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김 군은 뚜껑이 열린
채
로 병이 쓰러져도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마개’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개발 과정은 결코 간단하지 않았다. 1월 초 아이디어를 생각했지만 첫 번째 시제품은 3월에 만들었다. 그마저도 완전한 성공은 ... ...
[기자의 눈] 황우석 사태를 덮을 만한 박기영 본부장의 ‘공’은 무엇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사람들이다. 이 ‘과학기술계 원로’와 ‘기관장’들은 박 본부장의 과거는 덮어둔
채
두둔하기에 급급했다. 김창우 한국기술사회 상근부회장은 “박 본부장이 보좌관에 재임했던 노무현 정부의 향수를 갖고 있다”며 “과학기술계가 박 본부장에게 힘을 보태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구 전 ... ...
나노패치 붙이자 피부세포가 혈액세포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8
개발한 패치를 손목에 올린
채
형질전환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 오하이오주립대 제공 살아있는 생명체의 피부세포를 수초 안에 다른 세포로 바꾸는 기술을 미국 연구진이 개발했다. 부작용을 줄인 환자 맞춤형 세포 치료로 이어지리란 기대다. 찬단 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팀은 ‘세포 ... ...
과기혁신본부장에 박기영 전 정보과학기술보좌관…과기계, “‘황우석 사태’ 주역” 반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7
사퇴 요구에 결국 보좌관에서 물러나 학교로 돌아갔지만, 공식적으로 사과를 하지 않은
채
대외활동을 이어가 원성을 샀다. 이후에도 각종 보직에 관심을 내비치는 등 자숙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과기계 한 인사는 “최근에도 정치권과 관가에 물밑 작업을 한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 ...
남의 집 풀장에 돌진한 트럭
팝뉴스
l
2017.08.07
주변에서 작업하던 UPS 직원이 달려와 여성을 풀에서 건져 주었고 여성은 트럭을 남긴
채
달아났다. 사고를 낸 여성 운전자는 술에 취해 운전했던 것이 분명해 보인다. 풀장에는 맥주 캔들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사진은 ‘흔치 않은 황당 사고’의 한 장면으로 평가받으며 해외 언론과 ... ...
미국 여성 프로 낚시꾼의 기념 촬영
팝뉴스
l
2017.08.04
덩치는 상당할 것 같다. 악어는 죽어 굴욕을 당하고 있다. 한 여성이 악어의 입을 벌린
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청순한 이미지의 얼굴이다. 그런데 외모는 사람의 진면목을 다 드러내지 못한다. 청순한 외모 속에 거친 사냥 본능이 숨어 있는 것이다. 화제의 여성 이름은 브룩 토마스. 미국 ... ...
내 뇌에 너의 기억을 심으면 나는 너일까, 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공조 없이 국내에서만 막게 되면 해외로 연구자들이 빠져나가거나 윤리를 무시한
채
서로 경쟁적으로 연구에만 몰두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며 “제도적인 노력과 기술적인 장치, 국제적인 공조가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