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사람과의 삶을 택한 맹금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깃을 손질해 제거할 수 있는 양은 억지로 제거하지 않는다. 끈끈이를 모두 제거하고 날개깃과 체력이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자연으로 돌려보낸다.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동물의 수를 조절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끈끈이는 작은 동물들을 무차별적으로 위협한다. 끈끈이 대신 포획틀을 ... ...
- 코로나19 백신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백신에 대한 궁금증, 여기서 해결해줄게. Q. 백신의 효능은 어떤 의미인가요?백신 효능은 개인이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을 확률이 아니에요. 백신을 주사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 감염자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를 말해요. 백신 효능이 90%라면 백신을 통해 감염자 수를 10명에서 1명으로 줄일 수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10년 이상 쌓이면, 미세 기후*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할 수 있을 거예요!” 정확한 식물 개화 시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선 탐사 방법을 잘 지켜야 해요. “꽃봉오리 상태일 때부터 꽃이 완전히 필 때까지 최대 한달 동안 그 과정을 봐야 하니, 다른 종 탐사에 비해 비교적 어려울 수 있어요. 하지만 ... ...
- [시사과학] 동물 학대 논란, 수족관 고래 타기 체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않는 것, 방문하지 않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답했지요. 이어 “바다 생물의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토론해 보고, 직접 목소리를 내는 것도 좋다”고 설명했답니다.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아나운서가 꿈? 인공지능에게 맡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정확도가 크게 높아졌어요. 인공지능이 자신만의 음성인식 모델을 만들려면 녹음된 여러 개의 목소리가 필요해요. 예를 들어 ‘강낭콩’이라는 말을 인공지능이 학습하게 하고 싶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강낭콩’이라고 말하는 녹음 파일의 파형*을 준비한 뒤, 인공지능에게 ‘이렇게 생긴 파형이 ... ...
- [한페이지 뉴스]고출력 레이저로 거대 우주 자기장의 씨앗을 뿌리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거대 자기장이 형성되는 과정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총 출력이 원자로 1만 개와 맞먹는 로체스터대의 ‘오메가 레이저’를 가동해 ‘자기 프란틀 수(magnetic-Prandtl-number)’가 1 이상인 플라스마 상태를 만들었다. 자기 프란틀 수는 전자기유체역학에서 유체의 점성과 확산속도를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데이터 레이블링, 소위 데이터 눈알 붙이기 아르바이트에 손을 댄 계기는 당연히 돈이었다. 중소기업에서 일하면서 월세를 내고 생활비를 ... 박스를 치고 해석한 모든 것이, 데이터로 등록한 모든 것이 미래에게 안내자가 되기를. 개당 250원으로 내가 미래에게 공정함과 신뢰를 부여했기를. ...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이어졌습니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음성 인식 기술의 성능이 별로 좋지 않아서 몇 개의 단어나 문장을 인식하는 데 그쳤습니다. 그런데 딥러닝을 비롯한 AI 기술의 발달로 음성 데이터를 빠르게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음성 인식 기술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습니다. 음성 인식 기술은 현재 ... ...
- [기획] 언니 개미는 동생들밖에 몰라~!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어린 일개미를 배려하는 이타적 행동의 이유를 설명해볼 수 있죠. 진화생물학에서는 개미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도 포괄적합도 이론과 해밀턴 규칙에 따라 이타적 행동을 한다고 설명합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부릅니다. 스페인의 알람브라 궁전을 흔히 ‘대칭의 성지’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17개의 서로 다른 테셀레이션을 성벽 내부의 장식에서 모두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수학자들이 군론을 통해 평면의 대칭군을 엄밀히 정의하기 훨씬 전부터 알람브라 궁전을 만든 사람들은 자신들이 모든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