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구를 제외하고는 구 하나에 다른 구 12개가 닿게 쌓아야 한다고 추측한 내용입니다. 여러 개의 구를 피라미드 형태로 쌓는 모습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먼저 구를 바닥에 촘촘하게 배열하고 그 사이사이의 움푹 파인 곳에 다음 층을 쌓는 식이죠. 이처럼 반복되는 배열을 연구하기 위해 ...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분야의 전문가가 힘을 합해 수학 학습부터 질병 치료까지 다양한 목적을 위해 게임을 개발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세상에 유익한 게임을 만든다면 어떤 게임을 만들고 싶나요 ...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무게, 비용, 그물의 종류, 탈출구의 형태까지 개선할 부분이 많지요. 앞으로 5~10년 뒤에는 개선된 포획장치와 함께 설명서까지 만들어서 외래종 거북이 퍼진 지방에 보급하는 게 목표예요. 쉽게 외래종 거북을 잡을 수 있도록 말이죠. Q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 외래종 ... ...
- [만화뉴스] 쌍둥이? 사실은 살짝 달라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쌍둥이의 DNA가 완벽히 같지 않았다고 발표했어요. 일란성 쌍둥이의 약 15%는 최대 100개의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죠. 연구팀은 이런 차이가 세포 내에서 DNA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 때문에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2월 3일 ‘하임리히 요법’의 창시자 헨리 하임리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고기 조각을 위로 밀어냈고, 고기 조각은 튜브 바깥으로 튀어나왔어요. 실험에 참여한 개가 살아난 것은 물론이고요.헨리 하임리히는 이 내용을 정리해 1974년 ‘하임리히 요법’을 발표했어요. 이후 수많은 사람이 하임리히 요법으로 생명을 구했어요.그런데 하임리히 요법을 수많은 사람 앞에서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공간인 우주에서는 이를 막아줄 마찰력이 없기 때문이지요. 현재 우주에는 약 6000여 개의 인공위성이 있어요. 앞으로 발사될 여러 소형 위성 군체들도 있고요. 이 인공위성들이 수명이 다한 뒤에는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까요? 여러분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기다리고 있을게요~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인공피부에 피하지방층을 구현했다. 이 인공피부를 붙인 로봇 손은 다른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피부를 붙인 로봇 손보다 물건을 조작하는 능력이 약 30% 뛰어났다. 연구팀은 달걀처럼 깨지기 쉬운 물건이나 나사 같은 아주 작은 물체도 잡을 수 있는 인공 손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연구 ... ...
-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방진과 그 규칙들이 그려내는 신비한 도형으로 수학을 이해하는 것이다. 베다 방진은 두 개의 한 자리 수를 곱한 수를 9로 나눴을 때의 나머지를 채워넣은 표다. 이때 9의 배수에 대해서는 9로 나눈 나머지 0을 쓰지 않고 9로 채워넣는다. 직접 베다 방진을 채우고 이를 이용한 베다 도형을 그려보자.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폴란드가 소련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시에르핀스키는 앞서 소개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집합론 외에도 위상수학, 정수론에서도 업적을 남겼습니다. 특히 정수론에서는 ‘시에르핀스키 수’가 유명합니다. 시에르핀스키 수는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k×2n-1이 합성수가 되게 ... ...
- [한페이지 뉴스]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자라는 속도가 더뎠다. 유전적으로도 달랐다. 현생인류 뇌 오가노이드와 다른 113개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이 일어났고, 277개 유전자의 발현이 달라졌다.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단백질을 만들도록 하는 과정으로 뇌 발달과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