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수학 문제를 바라볼 수 있게 됐어요. 다른 사람들이 쓴 풀이를 읽어보면서 제가 몰랐던
개
념이나 공식을 배우고, 문제의 오류를 발견하기도 해요. 혼자서 공부할 때는 ‘이런 문제는 이렇게 풀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 한 문제에도 다양한 풀이법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나노봇이 근거없는 허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미 다양한 나노봇이
개
발됐고 인류가 직면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농업을 장려하는 한편 ‘황새의 춤’이라는 이름으로 친환경 농업 인증 쌀 브랜드를
개
발했다. 이 쌀은 일반 농법 쌀보다 고급 쌀로 여겨지며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농가가 지속적으로 친환경 농업을 할 수 있게 경제적 원동력을 만들어 준 것이다. 황새를 활용한 관광산업이 활발해진 것도 지역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결투를 벌였다.우리우리스 종족의 장사는 양쪽 손이 핵융합 폭발을 일으킬 수 있도록
개
조돼 있었고 몸의 중앙 부위에서는 응축 블랙홀을 내뿜어 공격할 수 있게 돼 있었다. 입을 열면 입 속에서 감마선 대폭발을 일으킬 수 있었고, 눈빛으로 암흑 에너지 역전 파동을 발산할 수 있었다. 그렇기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우리은하를 가장 비슷하게 재현한 우주 3
개
를 골라냈습니다. 그리고 표현할 입자의
개
수를 늘려 해상도를 더 높였습니다. 마치 카메라 줌을 당기듯 말이죠. 그래도 입자 하나는 태양의 수만 배 수준입니다. 미래를 보여주는 은하 관측이 논문에서 재현한 은하는 우리은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평범함은 거부한다! 10면 주사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면이 10
개
로 이뤄진 ‘오각 엇쌍각뿔’입니다. 이름이 조금 어렵죠? 엇쌍각뿔은 각뿔 두
개
를 어긋나게 붙여놓은 모양이에요. 오각 엇쌍각뿔 모양의 주사위는 ‘던전 앤 드래곤’이라는 보드게임에도 쓰이고 있어요. ... ...
[만화뉴스] 쌍둥이? 사실은 살짝 달라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쌍둥이의 DNA가 완벽히 같지 않았다고 발표했어요. 일란성 쌍둥이의 약 15%는 최대 100
개
의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죠. 연구팀은 이런 차이가 세포 내에서 DNA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 때문에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중증 환자가 급격히 늘었어. 자연스레 환자들이 머무르는 음압병실이 부족한 문제도 나타났지. 제때 병상을 배정받지 못한 코로나19 확진 환자 ... 기르길 바란다”고 전했답니다. 용어정리* 전실: 환자를 만나기 전 소독하고,
개
인 보호장비를 갖추는 공간 ... ...
[도전! 섭섭막사 메이커] 99자 그림을 그려 보자! 하모노그래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자취가 달라진답니다. 그렇다면 하모노그래프로 그릴 수 있는 그림의 가짓수는 총 몇
개
일까요? 손잡이 톱니바퀴 위치의 경우의 수와 거치대 구멍의 수를 모두 곱하면(11x3x3), 총 99가지의 그림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인공피부에 피하지방층을 구현했다. 이 인공피부를 붙인 로봇 손은 다른 연구팀이
개
발한 인공피부를 붙인 로봇 손보다 물건을 조작하는 능력이 약 30% 뛰어났다. 연구팀은 달걀처럼 깨지기 쉬운 물건이나 나사 같은 아주 작은 물체도 잡을 수 있는 인공 손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연구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